지방은행, 실적 성적표 보니…‘이것’에 희비갈렸다

김민주 매경닷컴 기자(kim.minjoo@mk.co.kr) 2024. 11. 13. 14: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되자, 지방은행지주들의 표정이 엇갈리고 있다.

BNK금융지주와 JB금융지주는 전년동기대비 선방했지만, DGB금융지주의 실적은 홀로 뒷걸음질 쳐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JB·DGB 등 3대 지방은행지주들의 올 3분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3.9% 감소한 1조5208억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DGB·BNK, 비은행 계열사 부진에 개선세 제동
JB, 대손비용 감소…연간 최대 순익 달성 전망
JB금융그룹. [사진 출처 = JB금융그룹]
올해 3분기 성적표가 공개되자, 지방은행지주들의 표정이 엇갈리고 있다. BNK금융지주와 JB금융지주는 전년동기대비 선방했지만, DGB금융지주의 실적은 홀로 뒷걸음질 쳐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JB·DGB 등 3대 지방은행지주들의 올 3분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3.9% 감소한 1조5208억원이다. DGB금융그룹의 부진이 전반 감소세의 원인이 됐다.

각 지주별로 BNK금융지주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6.1% 증가한 7051억원, JB금융지주는 14.1% 신장한 5631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DGB금융지주는 40.5% 감소한 2526억원에 미치며 역성장했다.

이들의 희비를 가른 결정적 요인으로 대손비용과 비은행 계열사의 적자가 꼽힌다.

DGB금융지주의 주요 비은행 계열사는 iM에셋자산운용을 제외하고 모두 지난해 동기보다 감소했다. iM증권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1163억원으로, 전년동기(336억원)대비 446.1% 쪼그라들며 적자 전환했다. 이 외 iM라이프 -19.3%, iM캐피탈 -48.1% 모두 역성장했다.

잔여 부동산 PF 충당금 리스크도 여전하다. DGB금융은 3분기 증권 자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충당금이 613억원 발생했는데 4분기도 추가적 적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DGB금융지주의 iM뱅크(전 대구은행). [사진 출처 = 연합뉴스]
BNK금융은 3분기 순이익이 전년동기보다 증가세를 보이긴 했지만 올 1, 2분기 대비 실적 정상화 속도가 다소 느려진 모습이다. 이는 BNK저축은행(113.3%), BNK자산운용(16.4%)을 제외한 증권, 캐피탈 등 비은행 자회사 실적이 부진한 결과로 분석된다.

3분기 BNK금융지주 비은행 계열사의 누적당기순이익은 124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4% 역성장했다. 주요 계열사별로 BNK투자증권 -77.7%, BNK벤처투자 -37%, BNK시스템 -20%, BNK신용정보 -8.3% 등이 전년동기비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JB금융은 이자이익 정체와 PF 수수료수익 감소로 총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 4% 감소했으나, 대손비용이 큰 폭(-26%)으로 감소하며 높은 이익규모를 유지했다. 대손비용 감소는 2분기와 같은 부동산 PF 등 추가충당금 요인이 없었던데다, 자산건전성 지표가 크게 개선된데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 업계에선 JB금융이 2024년 연간 사상 최대 순이익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는 분위기다. 하나증권은 JB금융이 2024년 연간 순익 약 657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순이자마진(NIM) 하락에 따른 이자이익 둔화를 수수료·기타비이자이익 등 비이자이익으로 방어해야 하는 국면을 감안했을 때, 궁극적으로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은행들의 매력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지방은행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진한 지역경기 등을 감안했을 때 내수·수출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경기 회복 추세가 요구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