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언론과 족벌언론의 대결, 승자는 빅테크? [뉴스룸에서]

최진주 2024. 11. 13. 04: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 선거는 정치권뿐 아니라 미디어의 각축장이기도 하다.

언론사들은 경쟁적으로 후보들의 의혹을 단독 취재해 명성을 높이고, 정세 전망과 분석을 실어 독자들의 관심을 모은다.

결국 베이조스가 WP의 오랜 전통을 뒤흔드는 결정을 한 것은 그가 '언론사주' 대신 '기업가'란 정체성을 택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빈 곳을 음모론으로 채우지 않고 발로 뛴 취재로 알아낸 사실을 보도하는 전통 언론의 가치는 지금도 유효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 대통령 선거에서 벌어진 미디어 대결
'재벌언론' WP는 사설 게재 막아 신뢰 상실
'족벌언론' NYT는 소신 지켰지만 한계 노출
소셜·뉴미디어 시대 전통언론 혁신 절실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왼쪽)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5일 치러진 미국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희비가 갈렸다. 베이조스는 워싱턴포스트의 사설 게재를 막아 신문의 신뢰를 실추시켰다. 소셜미디어 엑스(X)를 인수해 여론 동향 파악이 가능했던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영입설이 나돌 정도로 가장 큰 수혜자로 꼽힌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대통령 선거는 정치권뿐 아니라 미디어의 각축장이기도 하다. 언론사들은 경쟁적으로 후보들의 의혹을 단독 취재해 명성을 높이고, 정세 전망과 분석을 실어 독자들의 관심을 모은다.

그런 와중에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달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지지 사설을 싣지 못한 사건은 세계 언론계에 충격을 줬다. 이 신문에선 36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게재를 막은 사주 제프 베이조스는 "언론 신뢰도 회복을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번 결정은 베이조스의 과거 행보와 사뭇 배치된다. 아마존 창업자인 그는 2013년 사재 2억5,000만 달러를 들여 WP를 인수한 후 디지털 혁신을 주도했다. 탐사보도의 대가 마틴 배런을 편집국장으로 영입해 저널리즘 품질 향상에도 힘썼다. 2016년 대선 당시 WP는 도널드 트럼프 후보 검증 취재팀을 꾸려 각종 의혹을 보도했고,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강도 높은 비판 보도를 이어갔다. 이는 아마존에 대한 보복으로 이어졌다. 아마존웹서비스는 1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국방부 사업 수주에서 탈락했고, 아마존은 배후에 트럼프의 입김이 작용했다고 주장했다.

결국 베이조스가 WP의 오랜 전통을 뒤흔드는 결정을 한 것은 그가 '언론사주' 대신 '기업가'란 정체성을 택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WP의 저널리즘은 치명상을 입었다. 불과 며칠 만에 유료 구독자의 5%인 20만 명이 이탈했다.

반면 설즈버거 가문이 1895년부터 지금까지 대를 이어가며 저널리즘 수호자 역할을 해 온 뉴욕타임스(NYT)는 선거 직전까지 '트럼프를 막기 위한 해리스 투표'를 촉구하며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트럼프 2기 때도 이 신문은 강력한 정부 비판 보도를 이어갈 것이 분명하다. 이는 매출 증대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족벌언론' NYT가 '재벌언론'의 한계를 드러낸 WP를 이긴 셈이다.

그러나 이는 '낡은 게임'에서의 승리에 불과하다. 트럼프의 압승은 NYT의 영향력이 해안가 대도시에 거주하는 고학력·고소득 엘리트층에 국한됐음을 보여줬다. 이들과 민주당의 주요 지지세력인 할리우드 배우, 팝스타, 테크업계 갑부 등은 미국 서민에겐 '기득권자'로 보일 뿐이었다. 심각한 인플레이션이나 치솟는 집세보다 가자지구나 우크라이나 등 '먼 나라 전쟁'을 톱기사로 다루는 NYT의 편집 방향도 우파 팟캐스트를 들으며 '엘리트'에 대한 반감을 키운 이들에게 호소력을 발휘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제 여론은 주류 언론이 아닌 빅테크 플랫폼에서 형성되고 있다. 젊은 층은 소셜미디어나 틱톡, 유튜브, 팟캐스트 등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형성한다. '트루스 소셜'을 만든 트럼프나, 트위터를 인수해 엑스(X)로 만든 일론 머스크는 이를 누구보다 잘 알고 활용한다. 반면 해리스는 경합주 방송 광고에 막대한 돈을 썼으나 효과를 보지 못했다.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은 저서 '좁은 회랑'에서 국가 권력에 대한 시민 사회의 감시와 견제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저널리즘은 '권력 감시'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빈 곳을 음모론으로 채우지 않고 발로 뛴 취재로 알아낸 사실을 보도하는 전통 언론의 가치는 지금도 유효하다. 다만 이제 대중은 다른 곳에서 뉴스를 만나고 판단의 기준을 세운다. 전통 언론은 '사회지도층'만이 아닌 더 넓은 오디언스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전면적 혁신이 절실하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