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토지 매입에만 180억…제주삼다수는 왜 한라산의 땅부자가 됐을까

박준석 2024. 11. 13. 04: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3월부터 삼다수의 광고 모델로 발탁된 가수 임영웅이 TV 광고에서 이렇게 되묻는다.

실제 삼다수를 제조·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한라산 인근에 매입한 토지 규모는 2022년 말 기준 71만6,600㎡에 달한다.

최근 제주시에서 열린 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에서 만난 윤 교수는 "우리가 마시는 삼다수는 30년 전 한라산에 내렸던 빗물"이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라산 빗물이 삼다수 근원
주변 토지 매입해 오염원 차단
축구장 100개 규모 부지 보유
삼다수 나이도 18세→30세 늘어
30년간 불순물 걸러진 빗물
"청정수 이미지 더 강화될 듯"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제주삼다수 취수원 전경.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공
제주삼다수가 축구장 100개 크기의 땅을 샀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올해 3월부터 삼다수의 광고 모델로 발탁된 가수 임영웅이 TV 광고에서 이렇게 되묻는다. 실제 삼다수를 제조·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한라산 인근에 매입한 토지 규모는 2022년 말 기준 71만6,600㎡에 달한다. 축구장(약 7,000㎡) 100개 크기다. 1996년부터 조금씩 땅을 사들이는 데 쓴 비용만 177억 원이다. 제주개발공사는 왜 한라산 땅부자가 됐을까?

이는 삼다수의 원수(原水)가 지하수라는 사실과 관계가 깊다. 한라산 국립공원 해발 1,450m 지역에 내린 빗물이 천연 필터 역할을 하는 현무암과 화산송이층을 타고 지하 420m 부근에 고였다가 뽑아 올려진 게 삼다수다. 빗물이 수십여 년에 걸쳐 천천히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품은 대수층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오염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한라산 중턱, 해발 440m에 위치한 취수원 일대 토지를 대거 사들인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한라산 상류는 거의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지하수 관측 시설만 58곳

제주삼다수 제품 이미지.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공

청정 원수를 관리·보전하려는 노력은 이게 끝이 아니다. 제주개발공사는 취수원과 주변 지역에 총 58개소 지하수 관측망을 설치해 지하수위, 취수량, 수질, 토양 등의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2022년 제주도 통합물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제주도 전체 지하수 함양량은 연간 17억5,800만 톤(t). 이 중 삼다수의 연간 취수 허가량은 165만6,000t(0.09%)에 불과하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고갈 우려는 기우인 셈이다. 그럼에도 혹시 모를 지하수위 변동에 대비해 실시간 감시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게다가 공사가 2년마다 한 번씩 지하수 취수 영향 조사를 실시하는 관리 지역 범위도 넓다. 취수원이 속한 표선 유역(207.3㎢) 전체가 대상이다. 제주도 전체 면적의 11%에 달하는 규모다. 문수형 제주개발공사 연구·개발(R&D) 혁신본부장은 "보통 생수업체들은 취수원 주변 반경 2km 정도만 관리하는데 이렇게 광대한 유역을 관리하는 것은 유례가 없다"며 "삼다수가 항상 변함없는 수질을 유지하는 배경"이라고 했다. 삼다수는 1998년 출시 이후 단 한 번도 수질 관련 행정 처분을 받은 적이 없다.


삼다수 빈티지 18년→30년

제주삼다수는 한라산 국립공원 내 해발 1,450m 지역에 내린 빗물이 30년 이상 땅속으로 스며들어 형성된 청정 화산암반수를 원수로 한다. 사진은 제주시 조천읍 제주삼다수 L5 공장 내 제주삼다수 홍보관에 전시된 취수원 관련 모형 사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공

2025년부터는 삼다수의 청정수(水) 이미지가 더 강해질 전망이다. 삼다수의 나이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한라산 해발 1,450m 지역에 내린 빗물이 화산암반층을 거쳐 지하 420m까지 내려가는 게 18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2001년 당시 제주도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함께 조사한 결과다. 그런데 윤성택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가 2016~2020년 한라산 동쪽 일대 빗물과 지하수를 채취해 물의 '지문' 격인 동위원소 분석 등을 진행한 결과 30년이 도출된 것이다. 최근 제주시에서 열린 제14회 제주물 세계포럼에서 만난 윤 교수는 "우리가 마시는 삼다수는 30년 전 한라산에 내렸던 빗물"이라고 했다.

이는 빗물이 더 오랜 기간 자연 정화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빗물이 스며드는 화산암반층에는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탁월한 화산송이와 클링커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제주개발공사는 지하수를 끌어 올린 후 단순 여과와 자외선 살균 작업만 거쳐 제품화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연령이 늘어났다고 해서 수질 변화가 있다고 얘기할 수는 없지만 청정 이미지를 더 강조할 수는 있다"며 "내년부터 삼다수 ‘30년 빈티지’를 제품 마케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제주=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