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의존 줄고 희토류 등 반격 카드… 트럼프 관세 견딜 채비”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2024. 11. 13.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 1월 20일 집권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최고 60%의 '대(對)중국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지만 중국이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보다는 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을 덜 입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1일 진단했다.

또 트럼프 당선인이 멕시코 등을 거쳐 미국에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에도 추가 제재를 부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YT “집권 1기보다 충격 덜할수도”
中, 관세 피하려 美 우회수출 확대

내년 1월 20일 집권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최고 60%의 ‘대(對)중국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지만 중국이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보다는 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을 덜 입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1일 진단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집권 1기였던 2018년 미국과 제1차 무역전쟁을 치른 중국이 이후 미국에 대한 교역 의존도를 상당 부분 낮췄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이 희토류 등 첨단 정보기술(IT) 산업에 필수적인 광물 수출 제한 등의 반격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이 대두(大豆) 등 미국산 농산물의 주요 수입국이라는 점도 양국 교역이 극단적으로 얼어붙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 힘을 더한다.

NYT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하든 중국 또한 견뎌낼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며 양국의 무역전쟁 재점화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점쳤다. 영국 조사기관 ‘TS롬바드’에 따르면 최근 6년간 미국의 전체 수입품 중 중국산 제품의 비중이 기존 20%에서 13%로 낮아졌다. 이는 중국이 2018년 이후 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주요 개발도상국을 총칭하는 ‘글로벌사우스(global south)’로 수출 활로를 넓혔기 때문이다. 중국 주요 기업이 미 관세를 피하려고 멕시코, 베트남 등을 거쳐 미국에 우회 수출을 해 왔다는 점도 한몫했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중요성도 강화됐다. 중국은 전기차, 태양광, 배터리 등의 세계적 생산국이다. 미국 등 서방 선진국이 중국산 제품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중국의 반격 카드도 더 강해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대두 수입에서 차지하는 미국산 대두의 비중은 2016년 40%에서 올해 18%로 급감했다. 그 자리를 브라질산 등이 차지했다. 미국산 대두의 주산지인 미 중부의 아이오와, 네브래스카주 등은 트럼프 당선인의 핵심 지지 기반으로 꼽힌다. 트럼프 당선인이 이곳 주민의 반발을 의식해서라도 중국과의 교역을 마냥 도외시할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60% 관세’가 현실화하면 중국 경제에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부동산 경기 침체, 내수 부진 속에서도 중국 경제를 지탱했던 수출에는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당선인이 멕시코 등을 거쳐 미국에 들어오는 중국산 제품에도 추가 제재를 부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전망 등을 반영해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내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4.0%로 제시했다. 한 달 전 전망치(4.5%)보다 0.5%포인트 낮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