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훈의 엑스레이] [45] 아이 엠 데이먼
나는 영어 이름이 있다. 데이먼(Damon)이다. 대학 시절 영어 회화학원에서 지은 이름이다. 90년대 인기 영국 밴드 ‘블러’의 멤버 ‘데이먼 앨반’에서 따온 것이다. 영어 이름이 수강 필수 조건은 아니었다. 그래도 모두가 영어 이름을 지었다. 한국 많은 남자가 그 시절 브라이언이나 제임스로 다시 태어났다.
외국 살 때도 나는 데이먼이었다. 한국인이 영어 이름을 짓는 이유는 하나였다. 외국인이 발음하거나 기억하기 쉬운 이름이어야 한다는 강박이었다. 도훈도 발음이 어렵지는 않다. 기억하기는 좀 힘들 수도 있다. 사실 내 이름을 기억하는 건 그들 몫이다. 한국인은 종종 지나치게 친절하다.
여전히 영어 이름을 쓰는 회사가 있다. 카카오가 대표적이다. 이유는 동일하다. 수평적 조직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다. 영어 이름까지는 낯간지러웠던 회사들은 호칭을 ‘님’으로 바꾸었다. CJ는 2000년도 직급 호칭을 버리고 ‘님’으로 통일했다.
두 회사 조직 문화가 수평적으로 바뀌었나? 요즘 두 회사 관련 뉴스를 보고 있자니 효과가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나는 두 회사 직원을 친구로 두고 있다. 만나면 하는 소리는 다른 회사 직원과 다를 바가 없다. “빌어먹을 김 대표가 말이야”가 “빌어먹을 브라이언이 말이야”로 바뀌었을 뿐이다.
몇 년 전 인터넷 미디어를 창간할 때도 나는 데이먼이 될 뻔했다. 젊은 직원이 영어 이름으로 서로를 부르자 건의했다. 결국 무산됐다. “김도훈 편집장 저 새X 왜 저래?”에서 “데이먼 저 새X 왜 저래?”로 바뀐다고 조직이 수평적이 되는 건 아니다. 한국은 한국이다.
요즘은 영어 이름을 짓는 회사가 잘 없다. 다행이다. 20대 시절 좋아하던 유명인에서 따온 영어 이름은 40대쯤 상당히 민망해진다. 나는 데이먼이 아니었다면 옛 미국 배우 ‘몽고메리 클리프트’에서 따 온 몽고메리가 됐을 것이다. 아직 전국 많은 스타트업 기업에 존재하는 옛날의 금잔디 동산에 매기 내 사랑하는 매기들에게 위로를 보낸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팔면봉] 尹 대통령이 시위대에 돌린 편지가 곤혹스러운 국민의힘. 외
- 관제 레이더조차 없다… 아슬아슬 지방 공항
- 문학 서적이 대출 1~8위… 텍스트힙, 유행 넘어 문화로
- 尹 편지가 불러모은 ‘분열의 깃발’
- 尹 지지층 “대통령이 보고있다”… 철야 대기조 만들며 관저 앞 막아
- 탄핵 정국 어수선한 사이… 野, 논란 법안 무더기 추진
- 기재부·대사·경찰… 崔대행, 인사할 듯
- 결별도 동조도 어려워… 尹 편지로 더 깊은 수렁 빠진 국힘
- 3700명 팔란티어는 어떻게 11만명 록히드마틴 꺾었나
- 제조업 약체 프랑스·말레이·인니, ‘AI 신흥 강국’ 넘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