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환자, 세포치료제 이식 1년 후 배드민턴 즐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아줄기세포치료제를 이식받은 파킨슨병 환자가 1년 뒤 배드민턴을 칠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은 이필휴 신경과 교수와 장진우 고대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세포치료제 저용량과 고용량을 이식한 뒤 1년 후 경과를 관찰한 결과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아줄기세포치료제를 이식받은 파킨슨병 환자가 1년 뒤 배드민턴을 칠 정도로 상태가 호전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들 환자에게는 에스바이오메딕스가 제조·공급한 세포치료제가 활용됐다.
세브란스병원은 이필휴 신경과 교수와 장진우 고대안암병원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세포치료제 저용량과 고용량을 이식한 뒤 1년 후 경과를 관찰한 결과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환자들은 배드민턴과 탁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상태가 나아졌다. 기존에는 이들 환자 모두 도파민 약물치료를 받았음에도 약효가 떨어지는 약효소진 현상을 보이거나 걷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부작용을 보였다.
연구팀은 파킨슨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치료제를 저용량(315만개 세포)과 고용량(630만개 세포) 그룹으로 나눠 이식했고, 각 환자 그룹 3명에서 증상 호전 정도를 측정했다.
증상 심각도에 따라 단계가 올라가는 호엔야척도를 보면, 저용량 투여 그룹은 평균 19.4%가, 고용량 투여 그룹은 평균 44.4%가 호전됐다. 고용량의 호전 정도는 중증 상태에서 질병의 초기 상태로 호전된 것을 의미한다.
객관적인 운동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파킨슨 평가척도로는 저용량 투여 그룹이 22.7%, 고용량 투여 그룹은 25.3%가 상태가 좋아졌다. 걷거나 몸의 방향을 바꿀 때 일시적으로 움직임을 멈추는 보행 동결 부작용은 저용량 투여 그룹 2명 중 1명에서 아예 사라졌고, 고용량 투여 그룹 3명에게서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일부 투여 그룹의 경우 파킨슨 평가척도가 이식 후 1년 뒤 40.7%까지 크게 호전돼 해당 배아줄기세포치료제가 새로운 파킨슨병 치료제로 탄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연구팀은 임상시험계획에 따라 이식 후 2년까지 추적 관찰하며 경과를 지켜볼 계획이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는 “파킨슨병을 오래 앓던 환자가 투여 후 배드민턴과 산책을 즐기게 된 만큼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환자들이 건강한 삶을 되찾는 것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들은 왜 삼성을 떠났나] ① 美 명문대 박사에 전공 무관 업무, 임원은 R&D 프로젝트 이해 못해..
- [비즈톡톡] 동원F&B가 참치에서도 ‘심장’에 꽂힌 이유는
- [가덕도신공항의 그림자] ⑤공항개발에 흔들리는 삶의 터전… 주민 670명 ‘이주난민’ 되나
- [단독] 1100만원 수주하고 ‘복붙’...더본코리아 강진군 용역보고서 15년전 논문 짜깁기였다
- [단독] 네이버, 한성숙 대표 시절 무자격 벤처캐피털에 990억원 투자 결정 논란
- 현지 시설 짓고 금융 지원… HD현대·한화, 폴란드 잠수함 수주 경쟁
- 尹, 재구속....구속 취소 4개월 만
- “우리도 그린벨트 풀어달라” 요청에…국토부, 서리풀 지구 확대 ‘난색’
- 포도당 구별하는 뇌 회로 찾았다…“비만·당뇨 치료 단서"
- 한국 사모펀드에 출자하려는 ‘틱톡’…넘치는 차이나머니, 곳간 빈틈 파고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