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내년 韓 성장률 2.2→2.0%로 하향 "수출 둔화가 성장 제약"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1.6%...실질소득 증가"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KDI는 내년 내수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겠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증가세 약화가 전체 경제 성장에 제약을 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KDI는 12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2%로 0.3%포인트(p) 끌어내렸다.
지난 5월과 8월 각각 0.1%p 하향조정한 데 이어 이번에 더 큰 폭으로 내렸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브리핑에서 "내수회복이 생각보다 더 지연되고 있다"며 "0.3%p 하향조정은 전적으로 내수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과 엇비슷한 눈높이다. 한은은 지난 8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2.4%를 제시했다. 이후 이창용 총재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올해 성장률이 2.2~2.3% 정도로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국제기구 전망치보다는 다소 보수적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2.5%를 유지하고 있다.
KDI는 보고서에서 "내년에는 내수가 일부 회복되겠지만, 수출 증가세가 완만해지면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내년도 성장 전망치를 2.1%에서 2.0%로 0.1%p 낮췄다.
KDI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는 소폭 상승하는 반면, 건설투자와 수출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내년 민간 소비가 금리 인하와 소득 증가의 영향을 받아 올해보다 개선된 1.8%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가계의 소비 여력이 다소 회복됨에 따라 소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KDI는 “민간소비는 금리 인하와 실질임금 상승 효과에 힘입어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라 올해 1.6%에서 내년 2.1%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KDI는 “반도체 업황 호조세가 설비투자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다만, 반도체 이외의 산업에서는 금리 부담과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설비투자 회복이 일부 제한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건설투자는 부동산 시장 약세와 수주 감소의 영향을 받아 -0.7%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KDI는 “건설 분야에서의 투자 감소는 내수 회복을 일부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주택 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투자 심리가 약화되면서 건설투자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수출 증가율은 2.1%로 전망되며, 이는 올해 예상치인 7.0%에서 크게 둔화된 수치다. KDI는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주요국 경기 둔화가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과 미국의 경기 둔화가 한국 수출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KDI는 “수출은 반도체와 제조업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하겠지만, 전체적인 둔화세로 인해 한국 경제 성장에 하방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며,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 등 대외 리스크가 수출에 추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KDI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6%로 전망했다. 올해 예상치인 2.3%에서 하락한 수치다. 내수 둔화와 국제 유가 하락이 물가 상승률을 억제할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KDI는 “국제 유가가 배럴당 85달러에서 82달러로 하락하며 수입 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용 시장에서는 내년 취업자 증가폭이 14만명으로, 올해 예상치인 18만명보다 감소할 전망이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고용 시장의 둔화가 이어지며, 실업률도 2.8%에서 2.9%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KDI는 한국 경제의 장기적인 잠재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 경제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동시장 유연화와 재정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 역동성을 높이고, 재정 건전성을 확보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뤄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 실장은 “지난 트럼프 1기 정부의 과정을 봤을때 시차가 걸릴 것”이라며 “관세인상이 진행되더라도 2026년부터 진행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생각보다 관세인상이 더 빠르게 진행된다면,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크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2.0%)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지윤이 원치 않는다"…최동석, 성폭행 고발 불입건 '수사 중단'
- ‘트럼프 효과’ 비트코인, 8만 8000달러선도 돌파…사상 최고치
- “아이 둘 있는 유부남, 착하고 성실”…‘북한강 시신 유기’ 軍 장교 ‘신상’ 확산·피해자와
- '트럭과 접촉사고' 롤스로이스 차주 "수리비 안받겠다"
- 친구 남편이 성추행, 홈캠에 찍혔다…집들이에서 무슨 일이?
- [영상]4살아이 ‘살려달라’ 발버둥치는데…거꾸로 처박은 태권도 관장, 공개된 CCTV ‘경악’
- 우유, 몸에 좋은 거 아니었어?…매일 우유 마신 女, ‘충격’ 연구결과 나왔다
- 최현석이 형이라고?…전현무 급노화 사진 '깜짝'
- “여자라면 먹고 싶다” 중계방송서 성희롱…결국 법정제재
- “우리 동의한 거지?”…‘성관계 동의 앱’ 국내 출시, 법적 효력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