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끊길라’…중소기업 10곳 중 9곳 “불공정거래 대처 못해”

김경은 2024. 11. 12.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불공정거래를 경험하고도 피해구제를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중소기업 대다수는 동의의결제도, 분쟁조정제도 등 현행 불공정거래 피해구제를 위한 제도가 미흡(85.9%)하며 불공정거래 피해기업 지원을 위한 새로운 제도적 장치가 필요(92.7%)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기중앙회, 불공정거래 피해기금 도입 위한 실태조사
피해기업 86% “현행 불공정거래 피해구제 제도 미흡”
96% “국가에서 수취한 과징금, 피해기업 위해 써야”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불공정거래를 경험하고도 피해구제를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기업과의 거래단절 등을 우려한 결과다. 이에 국가에서 수취한 불공정거래 과징금을 피해기업을 위해 활용하는 등 정부가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불공정거래 피해구제 대응 방식 (그래픽=중소기업중앙회)
1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7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불공정거래 피해기금 도입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공정거래 행위를 경험한 업체의 90.5%는 ‘피해구제를 위한 별도의 대처를 못했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가해기업과 거래단절의 위험이 있어서’라는 응답이 51.9%를 차지했다. 이어 ‘피해구제를 위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손해입증이 어려워 실질적인 피해보상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서’가 각 37.0%로 나타났다.

불공정거래 피해업체 중 81%의 기업은 피해 대비 50% 미만의 보상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30% 미만의 보상을 받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68.5%이며 100% 이상 피해를 복구했다고 응답한 기업은 4.5%에 불과했다.

피해 중소기업 대다수는 동의의결제도, 분쟁조정제도 등 현행 불공정거래 피해구제를 위한 제도가 미흡(85.9%)하며 불공정거래 피해기업 지원을 위한 새로운 제도적 장치가 필요(92.7%)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금융지원 등 불공정거래 피해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이 거의 부재해서’(57.2%), ‘현행 피해구제제도의 적용범위와 효과가 제한적이라서’(42.1%) 등을 꼽았다.

현행법상 불공정거래로 인한 피해를 구제받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가해기업에 대한 법적제재와 별도로 피해기업이 민사상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소송을 제기하더라도 재산상의 피해를 충분히 보상받기 어려움(59.0%) △신속한 피해구제가 어려워 장기간 불확실성을 감당해야 함(53.6%) △자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높은 변호사 비용을 부담해야함(40.4%) 등을 우려사항으로 꼽았다.

불공정거래로 인해 국가에서 수취한 과징금이 피해기업을 위해 활용돼야 한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95.7%(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국가 차원에서 피해기업에 대한 보호가 필요해서(47.2%) △과징금은 피해기업의 손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해구제에 활용할 필요가 있어서(46.1%) △피해 중소기업이 장기간 소송 중 파산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39.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과징금을 피해기업을 위해 활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이 95.7%나 조사된 것은 불공정거래 피해지원제도에 대한 중소기업계의 목마름을 보여준다”며 “국가 차원에서 장기간 소송 중 피해 중소기업이 파산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기금 신설을 통한 지원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경은 (gol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