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저널리즘 시대, 인간적 요소 더 중요해져” [심층기획]

박지원 2024. 11. 12. 06: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날씨 예보처럼 반복적이고 간단한 기사들은 인공지능(AI)으로 자동화하면 쉽고 효율적일 수 있겠지만 다른 모든 지적이고 감정적이며 호기심이나 유머가 필요한 지점은 인간으로서의 능력이 필요한 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AI 시대의 저널리즘에서 기자들이 가진 인간적 자질은 오히려 더 중요해질 겁니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부의 찰리 베킷 교수는 지난달 24일 LSE 캠퍼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AI가 많이 활용될수록 인간적인 요소가 더 중요해지는 역설이 발생할 것"이라며 AI 시대 언론에서 인간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런던정치경제大 찰리 베킷 교수
“AI는 데이터 수집·정리 도구일뿐
호기심이나 논란 지점 판단 못해
AI 안쓴다고 해도 가짜뉴스 퍼져
규제보단 거버넌스 수준 합의 필요”
“날씨 예보처럼 반복적이고 간단한 기사들은 인공지능(AI)으로 자동화하면 쉽고 효율적일 수 있겠지만 다른 모든 지적이고 감정적이며 호기심이나 유머가 필요한 지점은 인간으로서의 능력이 필요한 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AI 시대의 저널리즘에서 기자들이 가진 인간적 자질은 오히려 더 중요해질 겁니다.”
찰리 베킷 교수가 지난달 24일 영국 런던의 LSE 캠퍼스 강의실에서 AI 시대 언론의 미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부의 찰리 베킷 교수는 지난달 24일 LSE 캠퍼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AI가 많이 활용될수록 인간적인 요소가 더 중요해지는 역설이 발생할 것”이라며 AI 시대 언론에서 인간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베킷 교수는 “AI는 데이터 수집·정리 도구가 될 순 있지만 결국 AI에게 무엇을 찾아야 할지 알려주고 찾은 정보로 판단을 내리는 건 사람인 기자”라며 “AI는 무엇이 중요하고 흥미로운지, 논란이 될 수 있는지 판단하지는 못한다. 결국 ‘인간의 결정’이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다만 베킷 교수는 언론인들이 AI 시대를 맞아 ‘왜 우리가 저널리즘을 하는가’에 대해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킷 교수는 “원칙적으로는 휴대전화만 있으면 누구나 사진을 찍고 녹음하고 편집해 공유까지 할 수 있는 이 시대에 ‘우리가 왜 저널리즘을 하는가’ 하는 질문이 절 매료한다”며 “AI는 언론을 변화시키고 엄청나게 멋진 일들을 가능케 할 기술이지만 단지 기술 차원이 아니라 ‘왜 우리가 저널리즘을 하는지’, ‘AI를 활용해 어떻게 언론의 가치를 실현할 건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AI 시대에 언론의 미래를 만드는 게 언론인들이 모여 공부하고 논의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베킷 교수는 생성형 AI가 거짓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언론이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물론 사람들이 믿고 싶은 대로 보게 하기 위해 거짓 정보를 만들거나 정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사람이 AI를 악용할 수는 있다. 그러나 AI를 없앤다고 해도 그런 류의 잘못된 정보들은 남아 있을 것”이라며 “지금은 규제나 억압보다는 거버넌스(통치) 수준의 합의에서 인간이 충분히 AI를 문제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언론이) 책임성을 갖고 가이드라인이나 준칙을 지킨다면 믿음과 신뢰를 갖는 건 독자의 몫”이라고 말했다.

AI 시대에 중소·지역 언론사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베킷 교수는 “소규모 조직은 인력이나 재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겠지만 AI 도구들을 잘 활용한다면 오히려 더 쉽게 접근할 수도 있다”며 “물론 어느 정도는 비용과 시간을 투자할 필요도 있겠지만 투자 대비 AI를 활용해 제고할 수 있는 효율성이 더 크다면 그게 바로 소형 언론사의 생존을 결정할 수 있다. 조직과 개개인이 할 수 있는 간단하고 작은 일들부터 당장 시도해보라”고 조언했다.

※본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교육과정에 참여해 작성한 기사입니다.

런던=글·사진 박지원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