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저널리즘 시대, 인간적 요소 더 중요해져” [심층기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날씨 예보처럼 반복적이고 간단한 기사들은 인공지능(AI)으로 자동화하면 쉽고 효율적일 수 있겠지만 다른 모든 지적이고 감정적이며 호기심이나 유머가 필요한 지점은 인간으로서의 능력이 필요한 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AI 시대의 저널리즘에서 기자들이 가진 인간적 자질은 오히려 더 중요해질 겁니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부의 찰리 베킷 교수는 지난달 24일 LSE 캠퍼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AI가 많이 활용될수록 인간적인 요소가 더 중요해지는 역설이 발생할 것"이라며 AI 시대 언론에서 인간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는 데이터 수집·정리 도구일뿐
호기심이나 논란 지점 판단 못해
AI 안쓴다고 해도 가짜뉴스 퍼져
규제보단 거버넌스 수준 합의 필요”
베킷 교수는 “AI는 데이터 수집·정리 도구가 될 순 있지만 결국 AI에게 무엇을 찾아야 할지 알려주고 찾은 정보로 판단을 내리는 건 사람인 기자”라며 “AI는 무엇이 중요하고 흥미로운지, 논란이 될 수 있는지 판단하지는 못한다. 결국 ‘인간의 결정’이 가장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AI 시대에 중소·지역 언론사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베킷 교수는 “소규모 조직은 인력이나 재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겠지만 AI 도구들을 잘 활용한다면 오히려 더 쉽게 접근할 수도 있다”며 “물론 어느 정도는 비용과 시간을 투자할 필요도 있겠지만 투자 대비 AI를 활용해 제고할 수 있는 효율성이 더 크다면 그게 바로 소형 언론사의 생존을 결정할 수 있다. 조직과 개개인이 할 수 있는 간단하고 작은 일들부터 당장 시도해보라”고 조언했다.
런던=글·사진 박지원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이게 가능해? 32년째 은행 이자 20% 받고 있는 송은이, 놀라운 재테크 비결
- “아들 유전자 검사…이게 인간이냐” 외도 남편 김학래 쓰레기 인성 폭로한 임미숙
- 날라리인 줄 알았던 소지섭, 어려웠던 집안 일으켜 세운 효자였다
- 불륜 남편에 위자료 40억 주고 이혼?…요리연구가 이혜정 파경설, 진실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박미선 생각에 결국 눈물 쏟은 이봉원…불화설·이혼설 모두 날렸다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