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 전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한 교토의정서 협약, 작년엔 ‘탈화석연료’ 첫 명시…단계적 퇴출은 불발

조문희 기자 2024. 11. 11. 22: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대 COP 성과와 한계

첫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는 1995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다. 앞서 유엔기후협약이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채택돼 1994년 발효됐다.

리우 기후협약 이래 가장 중요한 결정으로는 1997년 COP3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 2015년 COP21에서 채택된 파리협정이 꼽힌다. 교토의정서는 세계 최초의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조약으로, 특히 38개 선진국에 대한 배출 감축 의무와 목표치를 설정했다는 의의가 있다.

파리협정은 2020년까지 유효한 교토의정서를 대체하고자 당사국들이 마련한 협약으로, 지구 평균온도 상승치를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하로 막고 1.5도 이하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행 의무를 선진국만이 아닌 195개 협약 당사국 모두로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만이 아닌 적응, 재원 조성, 투명성 제고 등 다양한 분야의 목표를 제시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2017년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파리협정 탈퇴를 공식 선언하면서 찬물을 끼얹었다는 평가도 나왔다.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에 비해 미국의 온실가스 감축 기준이 “바가지” 수준으로 높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COP28은 ‘탈화석연료’를 명시했다. 총회 합의문에 석탄·석유·천연가스를 아우르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중단한다는 내용이 들어간 건 이때가 처음이다.

다만 당초 합의문에 들어갔던 ‘단계적 퇴출’ 대신 ‘멀어지는 전환’ 문구를 넣어 한계를 드러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향후 전환을 위한 재원 조성을 두고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 갈등이 벌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