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생존’ 경쟁…흥행엔 득, 구단엔 독?

황민국 기자 2024. 11. 11. 20: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부 잔류 감독이 말하는 ‘승강제’

프로축구 K리그에도 팬들이 넘쳐났다. 역대 최소 경기(416경기) 300만 관중을 돌파한 원동력 중 하나로 ‘생존 경쟁’이 꼽힌다. 1부 리그 12개 팀에서 최대 세 팀이 2부로 내려가고, 2부(13개 팀)에선 거꾸로 최대 세 팀이 올라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일찌감치 막 내린 우승 경쟁과는 별개로 흥행에 큰 도움을 줬다. K리그를 운영하는 프로축구연맹은 11월 A매치 휴식기 직후인 24일 K리그1 최종전과 이후 승강 플레이오프(PO)까지 얼마나 많은 팬들이 경기장을 찾을지 설레는 눈치다.

하지만 당사자에게 ‘생존 경쟁’은 상당한 스트레스다. 강등권 추락이 확정된 세 팀(12위 인천 유나이티드·11위 대구FC·10위 전북 현대)뿐만 아니라 강등권에서 힘겹게 벗어난 감독들도 시원하게 웃지 못했다.

1부 12팀 중 최대 세 팀 2부로
“25% 강등 확률은 가혹” 불만
최소 경기로 300만 관중 돌파
하위 리그 활성화 긍정 측면도

파이널 라운드B(7~12위)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은 김학범 제주 유나이티드 감독과 황선홍 대전 하나시티즌 감독은 “승강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 감독은 지난 3일 먼저 1부 잔류를 확정지은 뒤 “1부 리그 12개 팀 중 세 팀이 강등권이다. 다른 나라를 살펴봐도 강등 확률이 (최대) 25%인 곳은 없다. 강등 확률 25%는 너무 가혹하다”고 불을 지폈다. 이어 황 감독이 1주일 뒤 생존 막차를 타면서 “같은 생각이다. (강등 확률을 줄이든지) 1부 리그 팀을 늘려야 한다”고 보탰다.

2022년 2부 강등이 최대 두 팀에서 세 팀으로 확대된 것에 대한 불만이 점점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1부 감독은 “매년 우승을 노리던 전북도 올해 2부 강등 위기에 직면했다. 그 누구도 강등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 지도자들 사이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프로축구연맹이 이 문제를 놓고 공청회라도 열었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프로축구연맹은 거꾸로 그 긴장감을 팬들이 원한다는 입장이다. K리그가 순위에 따라 분리되는 스플릿(1~6위, 7~12위) 라운드의 한계로 줄어든 하위권 팀들의 관심을 승강제 확대로 되살린 것을 강조했다. 다른 프로스포츠와 달리 K리그는 포스트시즌이 없다. 승강 플레이오프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의 한 고위 관계자는 “K리그는 구단이나 감독보다는 팬들을 위해 운영해야 한다. ‘팬 퍼스트’가 K리그의 최대 가치”라고 선을 그었다.

더불어 프로축구연맹은 1부의 강등 확률이 25%(세 팀)라는 주장에 2부로 자동 강등될 확률은 8%(한 팀)라고 선을 그었다. 역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1부가 웃은 확률은 절반. 승강 플레이오프 규모가 2개 팀으로 늘어난 2022년부터는 네 팀 중 세 팀(수원 삼성·수원FC·강원FC)이 웃었으니 수긍할 만한 부분이다.

이 관계자는 “왜 25%라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 우리가 볼 때는 2부로 자동 강등될 확률은 8%”라면서 “객관적인 전력이나 상황 자체는 1부가 더 유리하다고 본다. 아직 제도가 완벽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3년 만에 또 바꾸자는 것은 무리다. 2부의 활성화 측면에서도 지금 제도를 유지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황민국 기자 stylelom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