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채무 2배 가까이…가계부채 뒤에 정책금융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책금융상품의 상황도 심상치 않습니다.
지난해 국내 금융공공기관이 지원한 정책금융의 규모가 1천900조 원에 육박했습니다.
국가채무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인데,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안지혜 기자, 정책금융 구체적인 규모가 어떻게 됩니까?
[기자]
국회예산정책처가 취합한 16개 금융 공공기관의 정책금융 현황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정책금융 잔액은 1천868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직전해(1천782조 4천억 원)보다 86조 원(4.8%)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 중앙정부 기준 국가채무(1천92조 5천억 원)의 1.71배 수준입니다.
9년 전(2014년·849조 9천억 원)과 비교하면 1천18조 5천억 원(119.8%)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국가채무 증가 속도(117.2%) 보다 더 빠른 수준입니다.
[앵커]
부문별로 보면 어땠습니까?
[기자]
구체적으로 보면 정책금융은 융자(대출)와 보증, 보험, 투자 등 4가지 방식이 있는데, 그중 보증의 잔액이 935조 4천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보증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건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보증이었는데요.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의 보증사고가 급증하면서 지난해 잔액은 566조 4천억 원까지 올라 전체 보증 잔액의 60.6%를 차지했습니다.
보증 다음으로는 융자 잔액이 741조 4천억 원으로 많았고 그다음이 보험잔액(104조 2천억 원), 투자잔액(87조 4천억 원) 순이었습니다.
정책금융은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정책 지원을 위해 함께 증가합니다.
하지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규제가 적용되지 않은 일부 정책금융이 가계 대출 급증세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일부에서는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채권이 부실화하면 결국 국가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SBS Biz 안지혜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연준, 대통령 지시받아야" 美상원의원 주장에 머스크, 지지 표시
- "트럼프, 내달 TSMC 美공장 완공식 참석 가능성"
- 잘나가던 엔씨 소프트, 희망퇴직 신청자 500명 넘어
- 비트코인으로 대박난 '부탄'…"고맙다, 트럼프?"
- 신축 비싸 계약 포기했는데 후회 막심...얼죽신 불패?
- 11월 1~10일 수출 17.8% 감소…대미 수출 38%↓
- SCMP "中, 美 부채문제·달러 무기화로 달러자산 보유 위험 커져"
- 국산맥주, 와인 꺾고 마트 매출 1위 되찾아…주류도 가성비
- 미수령 1조원 찾아줬다…예탁결제원 "배당금 꼭 챙기세요"
- '아! 10만 전자, 어디로?' 삼성전자, 오전장 52주 신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