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10만원 바라봤는데…5만원 '늪'에 빠진 삼성전자

조민정 2024. 11. 11. 11: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 신저가…장장 33거래일 팔던 외국인 다시 순매도 랠리
HBM 소외에 칩스법 불확실성 '첩첩산중'…"기술력 증명 필요"
삼성전자 실적 하락 (PG) [양온하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한때 10만원을 바라보던 삼성전자 주가가 5만원대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 채 11일 또다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이날 오전 11시 5분 기준 코스피 시장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천500원(2.63%) 내린 5만5천5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는 1년 새 가장 낮은 가격이다.

삼성전자의 역대 최고가는 지난 2021년 1월 11일 장중 9만6천800원이다. 종가 기준으로는 같은 날 9만1천원이 가장 높은 가격이었다.

약 3년 10개월 사이 43%가량 내린 것이다.

삼성전자 주가는 특히 외국인이 끌어내리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9월 3일부터 10월 25일까지 장장 33거래일간 삼성전자를 순매도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 기간 순매도 규모는 12조9천339억원에 이른다.

외국인은 10월 28일과 29일 단 이틀 각 100억원 미만의 순매수를 기록한 뒤 10월 30일부터 다시 매도 행진을 시작, 지난 8일까지 8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했고 이날도 순매도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의 부진은 인공지능(AI)의 핵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에서 뒤처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서 확고한 지위를 확보한 것과 달리 삼성전자는 HBM 밸류체인에서 소외되며 후발 주자의 위치가 됐다.

김광진 한화증권 연구원은 "내년 메모리 시장의 수요 디커플링이 심화하면서 업황이 둔화 구간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돼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 모멘텀이 현저히 낮아질 것"이라며 "HBM 시장에서 경쟁사와 격차를 좁히는 것이 중요한데, 낙관적인 판단을 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과거 메모리 업 사이클에서는 선행 투자를 통해 빠르게 늘어나는 수요를 먼저 흡수하는 삼성전자가 가장 유리했으나 AI와 관련한 특정 수요만 좋고, 그 외 IT 수요가 좋지 않은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매출 기여도가 낮은 성숙 공정 캐파는 오히려 원가에 부담"이라며 "달라진 시장 상황에서는 다른 방법론을 적용해야 한다"고 짚었다.

주가가 이미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는 만큼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이지만, 단기간 내에 추세적인 상승을 할 것이라는 논리는 아직 쌓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반도체 섹터 전반에 불확실성이 커진 것도 투자 심리를 억누르고 있다.

2022년 제정된 반도체법(칩스법)은 미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기업에 생산 보조금 390억 달러와 연구개발(R&D) 지원금 132억 달러 등 5년간 총 527억 달러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 TSMC 등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에 공장을 짓고 그 대가로 보조금을 받기로 했는데, 아직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 상태다.

트럼프 당선인은 칩스법과 같은 직접 보조금보다 관세가 반도체 산업 진흥에 더 효과적이라는 입장이어서 계약 조건, 계약의 성사 여부, 계약시 보조금 지급 시기 등과 관련한 우려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트럼프가 중국을 견제하는 만큼 대만 TSMC에 집중된 반도체 생산 기조가 바뀌게 되면 한국 반도체에도 기회가 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현재로서는 장담할 수 없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올해 주가 부진은 HBM을 엔비디아로 공급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근본적으로 제품 품질 관련 이슈가 전 제품에 걸쳐서 제기된 영향"이라며 "이와 관련된 문제를 내년에는 해결할 수 있는지가 주가 반등 및 수익성 개선, DS 사업부의 경쟁력 회복에 절대적인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지금은 그 가능성을 확신할 수는 없는 구간"이라고 말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새로운 질서가 온다고 하더라도 결국 반도체에서는 무엇보다 기술력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며 "기회를 되찾기 위해서는 결국 기술력을 증명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homj@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