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하라, 언제 어디서 때릴 줄 모른다”…‘관세맨’에 한국 주력산업 어디로 [다시 트럼프시대]
“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10월 15일 연설에서 이 한마디로 차기 행정부의 모든 통상정책을 응축해 냈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의 모든 수입품에 대한 보편적 기본관세 10~20%를, 중국산 수입품에는 60%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트럼프 관세폭탄 현실화되면···車산업 직격탄
국제 통상전문가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후부터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노골적인 관세 압박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난달 말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후보가 당선돼 관세 정책을 시행할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액이 최대 448억 달러(약 62조원)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이는 한국에 보편관세 10~20%를 부과할 경우 직접적으로 줄어드는 총수출액(152억~304억 달러)에 더해 미국이 제3국에 관세를 부과해 한국산 중간재에 대한 수출이 감소(47억~116억달러)하는 경우, 상대국이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산 중간재 수출이 줄어드는 경우(6억~28억 달러)를 고려한 추정치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현대차와 기아차의 내년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20% 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김준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보편 관세가 부과되면 내년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 감소분은 각각 2조7000억원, 2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도 “기아는 멕시코에 공장이 있기 때문에 미국이 25% 관세를 매기면 영업이익 감소 폭은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美 산업정책 방향전환에···반도체·2차전지 전전긍긍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칩스법(반도체법) 등 바이든 정부가 주도할 산업정책을 틀을 흔들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그동안 트럼프 당선인은 바이든 정부의 IRA를 “역사상 가장 큰 세금 인상”이자 ‘녹색사기’라고 비난해 왔다. 칩스법에 따라 해외기업에 제공할 보조금에도 트럼프 당선인은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쳐 왔다.
문제는 국내 기업들이 바이든 정부의 산업정책에 따라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왔다는 점에 있다. 반도체 기업들은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는 칩스법에 따라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삼성전자(텍사스주)와 SK하이닉스(인디애나주)는 미국 정부로부터 각각 64조원, 6200억원의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받기로 돼 있었다.
다만 반도체와 2차전지 사업에는 트럼프 재집권으로 반사이익을 볼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공존한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강력한 봉쇄 정책을 내놓게 되면 반도체 산업내 중국기업들의 입지가 줄어들게 되고, 국내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여기에 더해 국내 기업들의 대미투자의 상당수가 공화당 지역구에 집중돼 있는 만큼 IRA와 반도체법에 대한 전면적인 백지화는 어려울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국책연구기관에서도 한국의 돋보이는 대미투자 실적을 미국과의 대화 과정에서 레버리지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을 내놓고 있다. 미국 대선 직후 나온 보고서를 통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향후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로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분야의 수출이 현지 생산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미국측에) 무역수지가 서서히 균형점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러다 우리 다죽어”는 아냐···트럼프 꼭 찝은 ‘K-조선’은 날개
트럼프 재집권으로 수혜를 보는 산업도 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조선업을 콕 찝어 언급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에는 수출 청신호가 켜졌다.
지난 7일 트럼프 당선인은 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미국의 조선업은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한국의 건조 능력을 알고 있으며, 보수와 수리, 정비 분야도 한국과 협력이 필요하다. 이 분야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나누길 원한다”고 밝혔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에너지정책의 변화도 국내 조선업에는 기회요인이다. 석유와 석탄, 가스 등 화석 연료를 중심으로 미국의 에너지 정책이 선회하면서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 사용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해당 에너지원의 운반선 수요 증가로 연결된다.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은 중국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와 LPG운반선은 한국 조선사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3살 차이’ 정우성 신현빈 열애설 초고속 부인 - 매일경제
- 집값 정확히 반반했다는 한영♥박군…“이제 각자의 길로” - 매일경제
- “10년째 담뱃값 4500원, 최소 8천원으로 올려야”...흡연자·금연단체·정부 얽히고설킨 담뱃값 -
- 김종민은 11살 연하와 결혼한다는데...신지 “마지막 연애 5년 전, 솔로가 이혼보다 낫다” - 매일
- “금메달도 아니면서”…사격 김예지 활동중단, 알고보니 ‘악플’ 때문 - 매일경제
- [속보] 與, 반도체특별법에 ‘정부 보조금 등 재정지원’ 포함키로 - 매일경제
- [단독] “미장으로 가즈아”···서학개미 계좌 첫 1000억달러 돌파 - 매일경제
- “불쾌한 냄새에 그냥 나왔다”...현직 경찰관 대학생때 성매매 혐의, 2심서 뒤집혀 - 매일경제
- 추신수 긴장시킨 아내의 말...“은퇴 동료들 80% 이혼 후 재혼” - 매일경제
- 로테이션 멤버? ‘대강인’ 2골 1도움! ‘9.9’ 당연했던 최고 평점…PSG 이적 후 첫 멀티골 폭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