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빤 왜 국산차 몰아 부끄럽게”...한국 저출산, ‘천박 과시문화’가 부추긴다? [한중일 톺아보기]
이 같은 소식에 영미권 최대 소셜미디어(SNS)중 하나인 ‘레딧’ 에는 다음과 같은 네티즌들의 반응이 잇따랐습니다.
“한국인들이 겉으로 보여지는 것에 얼마나 민감한지 알 것 같다”
앞서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FT), 미국 블룸버그 등 서구 레거시 미디어들도 유사한 이슈에 대해 보도한 바 있습니다. 지난 4월 FT는 한국에서의 연두색 번호판 도입 소식과 함께 이것이 “한국사회의 과시적 소비문화를 억제하려는 정부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이 벤츠, BMW를 비롯해 고가의 수입차들이 다른나라들에 비해 특이하게 많이 팔리는 시장이란 건 맞습니다.
예컨대 현재 벤츠 S클래스와 마이바흐의 판매량은 한국이 중국에 이어 전세계 2위인데, 인구 대비로 따진다면 사실상 세계에서 제일 많이 팔리고 있는 셈입니다. 지난해 영국 벤틀리의 전세계 판매 대수에서도 한국시장은 아시아 1위, 전세계 5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와 관련, 일본 주간지 겐다이 비즈니스는 한 40대 한국 남성이 최근 자신의 연봉보다 더 높은 가격의 고급 외제차량을 덜컥 구입하게 된 사연을 소개했습니다. 이 남성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가 친구들 차는 다 외제인데, 우리 차는 국산이라 창피하다고 했다” 며 “딸이 기죽는 게 싫어 어쩔 수 없이 바꿨다”는 변명인듯 변명 같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승차감이 아닌 ‘하차감’이라는 독특한 단어의 존재도 한국사회의 과시 및 허세 문화를 투영한 결과라는 지적입니다.
주지하다시피, 하차감은 차량에서 내릴 때 주변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것”에서 비롯되는 자부심 또는 만족감을 뜻하는 말입니다. 부러운 시선을 많이 받을 수록 하차감이 더 좋은 차 라고들 합니다.
영미 등 서구권은 물론 같은 동양권인 일본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직접적 표현은 없습니다. 아무래도 주변의 인상이나 반응을 매우 신경쓰다 보니 생겨난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사회에서 차와 관련된 허세 문화가 특히 강한 건, 자동차가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사회경제적 지위를 투영하고 있다는 점을 의식하는 경향이 유독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개근상은 한번도 결석하지 않고 성실하고 건강하게 학교에 출석했다는 것을 기념하는 자랑의 대상입니다. 그런데 요새는 형편이 안돼 학기중 해외여행 한번 가지 못했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어 아이들 사이 놀림감이 되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검증할 필요가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발 소식 이었지만, 학기 중 체험 학습이 가능해지면서 수업대신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초등학생들이 늘어난 것은 사실입니다.
여기에 언제부턴가 서울을 필두로 아파트 매매 가격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나눈 ‘부동산 계급도’ 같은 것도 등장했습니다. 이를 두고 부동산 카페 등에서는 어디지역 등급이 고평가 됐느니, 저평가 됐느니 수시로 갑론을박이 이뤄집니다. 현실적으로 어느 지역에 사느냐가 계층을 나누고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지는 오래입니다.
수년전에는 초등학생들 사이 ‘빌거지(빌라에 사는 거지)’, ‘엘사(LH아파트에 사는 사람)’ 등 각종 비하표현들이 생겨나 쓰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우려스러운 건 현재 한국 사회가 시간이 갈수록 소득 수준별 출산율 차이가 벌어지면서 중산층 부터는 점점 출산을 안하는 상태가 돼가고 있다는 겁니다. 예컨대 전체 출산율을 100%로 한다면 여기서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1.2%에서 2019년 8.5%로 2.7%포인트 하락했고, 같은기간 중산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42.5%에서 37%로 5.5%포인트나 급락했습니다.
반면, 고소득층은 46.5%에서 54.5%로 8%포인트 늘었습니다. 해당 연도에 100명의 아이가 태어났다고 한다면 이 중 55명은 고소득층의 자녀이고 37명은 중산층의 자녀, 저소득층 자녀는 8명에 불과하다는 뜻입니다.
모두가 아이를 덜 낳는 시대가 됐다지만 고소득층은 그래도 조금이라도 아이를 낳는다면 중산층은 아이 낳기를 주저하고 있고, 저소득층은 아예 포기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흔히 유사이래 한국이 지금만큼 부유했던 시기가 없다고들 합니다. 그런데도 출산율은 유사이래 압도적으로 낮습니다. “내 아이에게 남들만큼 해줄 수 없어서”라며 비교하고 스스로를 옥죄는 분위기가 만연하는 한, 한국사회에서 제대로 된 출산율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하단 기자페이지 ‘+구독’을 누르시면 다음회차 기사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매주 연재되는 [한중일 톺아보기]는 한중일을 중심으로 아시아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살펴봅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尹대통령, 8년 만에 골프채 잡았다는데...이유 알고보니 - 매일경제
- [단독] “이러다 한국 망한다”…사람도 돈도 미국으로 대탈출, 무슨 일 - 매일경제
- “10년째 담뱃값 4500원, 최소 8천원으로 올려야”...흡연자·금연단체·정부 얽히고설킨 담뱃값 -
- 선넘은 주말집회 … 질서통제 경찰관 폭행, 매장 화장실 난장판 - 매일경제
- 김종민은 11살 연하와 결혼한다는데...신지 “마지막 연애 5년 전, 솔로가 이혼보다 낫다” - 매일
- [단독] “광화문에 그 많던 외국인들 다 도망갔다”…서울 도심 점령한 이 단체, 정체가 - 매일경
- 31년 만에 KBS 명퇴 황정민...“의사 남편, 나를 사랑하는 이유가” - 매일경제
- “유령도시인 줄 알았다”…상가 무덤 된 이 동네, 앞으론 싹 바뀐다는데 - 매일경제
- “한국·일본 대표 젊은 남녀가 뒤엉켰다”...일본식 합석 주점에 모인 MZ의 정체 - 매일경제
- 로테이션 멤버? ‘대강인’ 2골 1도움! ‘9.9’ 당연했던 최고 평점…PSG 이적 후 첫 멀티골 폭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