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 ‘트럼프 2기 시대’ 경제 가교로 급부상하나? [일상톡톡 플러스]
한미 양국 ‘경제 가교’ 역할 기대
'트럼프 2기 시대'가 다가오면서 대한민국 유통 양강인 롯데와 신세계 그룹의 총수들이 ‘재계 인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들은 그동안 쌓아온 소통을 바탕으로 향후 한미 양국의 경제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구본걸 LF 회장은 트럼프 당선인과 미국 명문 펜실베니아대 MBA 과정인 와튼스쿨(Wharton School of Finance) 동문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트럼프는 1964년 뉴욕 포덤대학교(Fordham University)에 입학한 뒤 2년 뒤 와튼스쿨로 편입했다.
트럼프는 1기 선거 기간 내내 자신이 와튼스쿨 출신임을 공개적으로 자랑할 만큼 학교에 대해 강한 애착을 보였다. 구 회장은 1980년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와튼스쿨에서 MBA를 졸업했다. 와튼스쿨 한국동문회의 경우 결속력이 높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한세그룹 창업주 김동녕 한세예스24홀딩스 회장 역시 1972년 와튼스쿨에서 MBA를 마쳤다. 경영학석사 과정을 끝낸 뒤 사업을 시작하고 1982년 한세실업을 설립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과거 트럼프 정부와의 인연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 회장은 지난 1월 자신의 SNS에 트럼프 주니어와 함께 찍은 사진을 공개하며 "트럼프 주니어 만나서 이런저런 얘기하고 왔음"이라고 밝혔으며, "10년 전 어느 언론사 행사에서 바로 옆자리에 앉은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복음주의 보수 기독교를 기반으로 한 트럼프 일가와 깊은 우정을 나누며, 이를 통해 한미 양국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트럼프 주니어는 이번 대선에서 아버지의 재집권 성공을 이끌며 중요한 역할을 한 ‘킹메이커’로 떠오른 인물로, 그의 영향력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선임 보좌관을 지낸 이방카보다도 더 강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정 회장은 트럼프 주니어 외에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맏사위인 재러드 쿠슈너와도 친분을 이어왔다. 그는 2019년 6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방한했을 당시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허영인 SPC그룹 회장 등 유통업계 오너들과 함께 간담회를 진행하며 미국 투자에 대한 논의를 나눴다.
신세계그룹 이마트는 2018년 미국 법인 'PKRH'를 설립하고, 그해 슈퍼마켓 체인 '굿푸드홀딩스'를 인수하는 등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현재 신세계의 미국 법인은 55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 연간 200만팩 규모의 가정간편식(HMR) 제품을 생산해 트레이더조, 코스트코, 크로거 등에 납품하고 있다.
롯데그룹 역시 트럼프 정부와의 깊은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신동빈 회장은 2019년 백악관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한국 대기업 총수 중 처음으로 면담을 가졌으며, 롯데케미칼의 31억 달러 투자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석유화학공장을 설립한 일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했다.
롯데는 또한 미국 내에서 롯데케미칼, 롯데호텔, 롯데웰푸드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현지 시장을 강화해왔다. 특히 롯데웰푸드는 최근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대형 옥외광고를 진행하며 미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아직 연말 임원인사를 발표하지 않았으며, 신 회장이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의 승진 여부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롯데그룹과 신세계그룹은 이미 미국 시장에서 활발히 사업을 전개해 왔으며, '트럼프 2기 시대'에 한미 경제 가교로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한국의 소비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현재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향후 보호관세가 한국처럼 FTA를 체결한 국가들로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미국으로 수출을 집중하는 국내 식품업체들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CJ제일제당, 농심, 대상과 같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보유한 기업과 달리, 국내에서 제품을 생산해 수출하는 삼양식품과 오뚜기 등의 업체는 보호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FTA 체결로 관세 혜택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보호관세 확대 가능성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에게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경우 미국 내 공장이 없는 기업들은 새로운 관세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가 왜 반란군 됐나" 국회 투입 군인들, 극심한 스트레스 시달려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전현무가 이상형” 홍주연 냅다 고백…아나운서 커플 또 탄생?
- 마흔 다 된 국민여동생…문근영, 살 찐 이유는 “인생 즐겼다”
- “우파 옹호하면 머저리냐”…‘계엄 환영→사과’ 차강석, 해고 통보 받았다
- 집들이서 친구 남편이 성추행, 남편은 친구와... 부부동반 만남의 '막장 결말'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