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황 악화' TV홈쇼핑 업계…'매출·수익성' 올리며 희망 보였다

윤수희 기자 2024. 11. 10. 07: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TV홈쇼핑 업계가 부진한 업황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패션, 식품, 리빙 상품군에 집중하며 매출이 증가하거나 수익성이 나아지는 등 가능성을 보였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CJ ENM(035760) 운영 CJ온스타일 영업이익은 92억 원으로 전년보다 29.6% 늘고 매출은 11.2% 뛴 3338억 원을 기록했다.

현대홈쇼핑(057050)은 송출 수수료 증가 등의 영향으로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2.6% 줄어든 90억 원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온스타일, 매출·영업익 동반 성장…현대홈쇼핑, 매출↑
롯데홈, 수익성 기조 운영에 흑자 전환 성공
(CJ온스타일 제공).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TV홈쇼핑 업계가 부진한 업황에도 불구하고 올해 3분기 패션, 식품, 리빙 상품군에 집중하며 매출이 증가하거나 수익성이 나아지는 등 가능성을 보였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CJ ENM(035760) 운영 CJ온스타일 영업이익은 92억 원으로 전년보다 29.6% 늘고 매출은 11.2% 뛴 3338억 원을 기록했다. '최화정쇼' 등 대형 IP 영향으로 프리미엄 뷰티 상품과 패션, 건강식품, 리빙 상품군이 호조를 보였다.

전체 취급고는 8817억 원으로 3.5% 줄었지만 한예슬 등 유명인을 기용한 모바일 라이브쇼가 선전해 모바일 라이브커머스(MLC) 취급고는 88.6% 증가했다. 지난 9월 모바일 앱 평균 일간활성이용자(DAU)도 역대 9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대홈쇼핑(057050)은 송출 수수료 증가 등의 영향으로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2.6% 줄어든 90억 원을 기록했다. 취급고 매출도 설치 가구 및 렌탈 카테고리 편성이 축소하며 1년 새 8.3% 감소한 8754억 원이었다. 다만 패션·주방용품·식품 상품군 판매 호조에 힘입어 매출은 0.3% 증가한 2558억 원으로 나타났다.

롯데쇼핑(023530)의 롯데홈쇼핑은 올해 3분기 98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저마진 상품 비중을 줄이고 패션, 뷰티 등 고이익 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개선한 게 주효했다.

전체 규모가 감소한 탓에 총매출액은 2120억 원으로 7.8%, 순매출액은 2081억 원으로 5.2%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TV 홈쇼핑과 e커머스 매출이 각각 0.6%, 4.1% 줄었지만 T커머스 매출이 1.1% 늘어났다.

GS리테일(007070)의 GS샵은 TV 시청 인구와 취급액 감소로 매출(2510억 원)과 영업이익(186억 원)이 각 3.4%, 2.7% 하락했다. 전체 취급고도 9427억 원으로 3.7% 줄었다. 신상품 출시 수를 30% 가량 늘리는 등의 노력으로 하락 폭을 최대한 줄였다.

(현대홈쇼핑 제공).

이들 업체는 남은 4분기 F/W시즌 성수기를 맞아 뷰티, 패션 등 고수익 상품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단독 브랜드를 지속 선보이는 한편 모바일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CJ온스타일은 독보적인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며 모바일 앱 신규 고객과 신규 브랜드 증가세를 지속 이어간다. 롯데홈쇼핑은 기존처럼 수익성을 중심으로 한 실적 회복 기조를 유지한다.

현대홈쇼핑은 숏폼을 활용한 콘텐츠 차별화, 유튜브 등 플랫폼 다각화 전략을 추진한다. 온라인몰 현대H몰 내 숏폼 전용 영역 '숏딜' 내 상품 연계 콘텐츠를 확대하고 TV홈쇼핑도 1시간이 아닌 20분, 5분 등 숏커머스 방송을 적극 운영할 예정이다.

GS샵은 TV와 모바일을 합친 대규모 앱개편,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품 큐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성장을 도모한다. 숏폼 콘텐츠 '숏픽'으로 모바일 영역을 확장하고 휴일 배송 도입 등 서비스를 고도화시킬 계획이다.

ys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