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건강이 위험하다… 10종 넘는 약 복용 만성질환자 136만명

조희연 2024. 11. 9. 15: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여러 개의 약을 한꺼번에 복용하는 환자가 해마다 늘면서 이들에 대한 관리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 무릎관절증 등 만성질환을 1개 이상 진단받고 10개 이상의 약을 60일 이상 복용하는 사람은 올해 6월 현재 136만1754명에 달했다.

건강보험공단은 노인 환자의 다제약물 복용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다제약물관리사업 등 여러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0대 이상이 90% 차지
입원, 사망 위험 높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여러 개의 약을 한꺼번에 복용하는 환자가 해마다 늘면서 이들에 대한 관리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 무릎관절증 등 만성질환을 1개 이상 진단받고 10개 이상의 약을 60일 이상 복용하는 사람은 올해 6월 현재 136만1754명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122만7032명(90%)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다제약물 복용자는 2019년 84만47명, 2020년 93만2730명, 2021년 108만108명, 2022년 117만5130명, 2023년 129만337명 등으로 매년 빠르게 늘고 있다.

전체 인구 대비 다제약물 복용자의 비율은 올해 6월 기준 2.63%이다. 급속한 고령화 추세를 고려하면 국내 다제약물 복용자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다제약물 복용자는 다른 주요 나라보다 많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75세 이상 환자 대상 다제병용 처방률(5개 이상의 약물을 90일 또는 4회 이상 처방받은 환자 비율)은 70.2%(2019년 기준)로 OECD 평균(45.7%)보다 한참 높았다.

여러 개의 약을 동시에 먹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건강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노인은 약물 대사 및 신장 배설 능력이 떨어진 경우가 많아 다제복용이 자칫 질병 치료보다 건강에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공주대 보건행정학과 공동 연구팀 논문에 따르면 국내 65∼84세 노인의 약물 복용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장기간의 약물 다제복용이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16∼2018년 국민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를 토대로 90일 이상 약물 복용 그룹(295만5755명)과 180일 이상 약물 복용 그룹(269만3897명)으로 나눠 입원율, 응급실 방문율, 사망률을 각각 분석했다. 그 결과 180일 이상 10가지 이상의 과도한 다제복용을 지속한 노인 환자가 입원할 위험은 다제복용이 없었던 노인 환자 그룹보다 1.85배 높은 것으로 추산됐다. 같은 비교 조건에서 응급실 방문과 사망 위험은 각각 1.92배, 2.57배 높았다.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약물 복용이 합병증과 무관하게 노인의 입원, 응급실 방문, 사망 위험을 상당히 높일 수 있는 만큼 환자와 의사 모두 다제약물 복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건강보험공단은 노인 환자의 다제약물 복용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다제약물관리사업 등 여러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다. 나아가 다제약물 복용자의 건강위험을 줄일 관리체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처방과 조제 단계부터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와 실시간 의료 이용 확인 시스템 등을 활용해 환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등 과다·과잉 처방을 제어하기로 했다. DUR은 의약품을 처방하거나 조제하는 의료인에게 의약품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노인 요양·돌봄과 연계해 다제약물 복용자를 대상으로 약물 점검·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후관리에도 힘쓰기로 했다.

조희연 기자 cho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