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 전시하고 여장 사진찍고...예술을 파괴했던 예술가 [나를 그린 화가들]

정유정 기자(utoori@mk.co.kr) 2024. 11. 9. 13: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르셀 뒤샹이 자신의 레디메이드 작품 ‘샘’ 앞에 앉아 있다
1917년 미국 뉴욕, 공중화장실에서 볼 수 있는 남성용 소변기를 예술 전시회에 출품한 남성이 있습니다. 그는 소변기에 ‘샘’이라는 이름을 짓고, ‘R. 머트’라고 서명했습니다.

‘저게 예술이라고? 저런 건 나도 하겠다’는 생각을 한 독자분들이 있을 겁니다.

이 작품을 받은 독립예술가협회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샘’을 전시할지 말지에 대해 갑론을박이 벌어졌습니다. 투표 결과 ‘샘’은 전시 대상에서 제외됐죠. 협회 이사회는 ‘샘’이 어떤 정의에 의해서도 예술작품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런데 협회 사람들은 생각이나 했을까요. 당시 협회 작품 설치 위원회 의장이었던 마르셀 뒤샹이 몰래 ‘샘’을 출품했다는 사실을요.

마르셀 뒤샹, ‘샘’, 1950년 제작된 복제품
뉴욕 미술계를 발칵 뒤집어놨던 뒤샹의 ‘샘’은 이제 미술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명성을 얻었습니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그래서 이 변기가 왜 대단한 건데?’라는 질문을 하지만요.

미술계의 이단아였던 뒤샹은 ‘예술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졌습니다.

파리서 ‘철거’ 수모당한 작품…뉴욕에선 대박
1887년 프랑스의 부르주아 집안에서 태어난 뒤샹은 처음에 회화로 그림을 시작합니다. 그는 군 복무를 마치고 풍자 만화와 유화를 그렸습니다.

1911년부터 뒤샹은 기계적 움직임을 그림으로 옮기는 것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또 파블로 피카소 등이 주도한 입체주의를 시도했죠. 입체주의는 대상을 여러 파편으로 분해한 후, 여러 시점에서 본 모습을 담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마르셀 뒤샹,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2’, 1912
뒤샹의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2’는 이런 시도가 돋보입니다. 그는 입체주의자들이 주관한 ‘살롱 드 쟁데팡당’ 전시회에 이 작품을 출품했습니다.

이 전시는 심사와 수상 제도를 없애 실험적인 예술 운동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하지만 전시회를 주관한 협회에선 이 작품을 철거할 것을 요구했죠.

협회 측은 이 그림이 입체주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뒤샹의 그림이 이탈리아 미래파 쪽에 가깝다고 생각했죠. 미래파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그림을 그렸습니다.

뒤샹은 결국 이 그림을 철거했습니다. 이후 이 작품은 뉴욕에서 열린 국제현대미술전에 출품되면서 성공을 거둡니다. 파리에서 작품을 거절당하면서 뒤샹은 자신들을 개방적이라고 규정하는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을 불신하게 됐습니다.

변기 출품한 미술가, 예술의 독창성에 도전하다
뒤샹은 산업 시대에 생산되는 제품의 형식적 미가 기존의 조각과 회화를 위협한다고 봤습니다. 1912년 항공 공학 박람회에서 전시된 비행기 프로펠러를 보고 “회화는 끝났다” “누가 이 프로펠러보다 더 멋진 걸 만들 수 있나?”고 말했죠.

대량 복제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그는 소변기를 ‘샘’이라는 작품으로 재탄생시킵니다. 그리고 ‘샘’을 뉴욕의 독립예술가협회 전시에 출품했죠. 뒤샹은 ‘샘’을 통해 미술 작품의 개념이 확장되기를 바랐습니다.

이 협회는 엘리트주의와 상업주의로부터 자유롭고 새로운 형식의 아트 포럼을 추구했습니다. ‘심사위원도 상도 없다’는 것이 협회의 원칙이었습니다. 회비 6달러만 내면 누구나 작품 두 점을 무료로 선보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샘’은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습니다. 협회는 ‘샘’을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제품으로만 바라봤습니다. 그저 육체적이고 본능적인 배설과 연관이 있는 변기가 숭고한 가치를 구현하는 미술이 될 수 없다고 봤습니다.

잡지 ‘블라인드’ 제2호에 실린 ‘샘’ 사진,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촬영, 1917
뒤샹은 잡지를 통해 샘을 옹호하는 글을 냈습니다.

“머트씨가 자신의 손으로 ‘샘’을 만들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그는 그것을 선택했다. 그는 일상적인 오브제를 취해, 그것의 일상적 의미가 사라지도록 배치했다. 새로운 제목과 새로운 관점을 통해 그는 그 오브제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창안해 냈다.”

“배관 제품이라서 안 된다고? 한마디로 웃기는 말이다. 미국이 지금까지 내놓은 유일한 예술작품이 배관과 다리 아니던가.”

뒤샹은 예술을 신성시하는 태도를 거부하고, 삶과 예술을 결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레디메이드’ 개념을 미술에 도입했습니다. 이는 예술가가 직접 그림을 그리는 대신, 기성품을 선택해 예술 작품으로 만들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때 예술가의 행위는 그림을 그리는 대신 오브제를 선택하고, 이름을 붙이고, 사인하는 행위로 대체됩니다. ‘샘’ 역시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죠.

예술 작품의 본질은 형태, 재료와 같은 물질적 요소가 아니라 작가의 제작 의도 자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인데요. 뒤샹은 미술품 자체보다는 예술가의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뒤샹은 또 예술 작품에서 관람자의 역할을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창작 행위는 예술가 혼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자가 작품을 해석함으로써 완성된다고 보았습니다.

모나리자 그림에 장난…‘그녀의 엉덩이는 뜨겁다’
마르셀 뒤샹, ‘L.H.O.O.Q(그녀의 엉덩이는 뜨겁다)’, 1919
뒤샹은 모나리자 그림에 장난스럽게 낙서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그는 모나리자 그림을 담은 우편엽서에 콧수염과 턱수염을 그리고, 그 아래 ‘L.H.O.O.Q’라고 썼죠.

‘L.H.O.O.Q’를 프랑스어로 말하면 ‘그녀의 엉덩이는 뜨겁다’라는 말과 동일하게 들립니다.

모나리자는 순수 미술의 상징과 같이 여겨지는 작품입니다. 제도권 미술에 속한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모나리자에 이렇게 낙서하고 ‘그녀의 엉덩이는 뜨겁다’고 쓴 뒤샹은 전통 예술을 조롱한 셈이죠. 뒤샹은 미술가와 미술 작품을 신성시하는 전통적 태도를 거부했습니다.반미학적이고 반예술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죠.

뒤샹은 대표적인 다다이즘 작가로 분류됩니다. 다다이즘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에 반대하며 반문명·반합리·반미학적인 예술을 추구하던 운동이었습니다. 다다이스트들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서구 문명의 물질주의가 전쟁을 초래했다고 봤습니다.

마르셀 뒤샹, ‘자신의 독신자들에 의해 발가벗겨진 신부, 조차도(큰 유리)’, 1915~1923
뒤샹은 나아가 자신의 개인적 취향이나 손재주를 작품에서 배제하고, 아이디어 자체를 전면에 내세우는 작품을 만들려고 했습니다. ‘큰 유리’라고 불리는 ‘자신의 독신남들에 의해 발가벗겨진 신부, 조차도’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작품은 유리판과 니스, 납, 호일, 철사 등을 사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나무틀과 캔버스로 대표되는 기존의 회화 방식을 버린 셈입니다. 뒤샹은 자신의 회화적 기술이 작품에 개입되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큰 유리’는 위와 아래의 두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데요. 위쪽에는 신부가 매달려 있습니다. 기계 같아 보이기도 하고, 곤충처럼 보이기도 하죠. 아래 왼편에는 아홉명의 독신남을 상징하는 모형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작품이 두 개의 프레임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신부에게 닿을 수 없습니다.

들고 다니는 미술관
뒤샹은 자기 작품을 복제했습니다. 본인 작품의 모조품을 만든 셈입니다. 상자에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크기로 작게 아주 많이 만들었습니다.
마르셀 뒤샹, ‘녹색 상자’, 1934
자신의 전작을 모아 복제품 앨범의 형태로 ‘녹색 상자’를 만들었습니다. 그가 제작한 녹색 상자 수는 보급판 300개, 고급판 20개에 달합니다.
마르셀 뒤샹, ‘여행 가방 속 상자(마르셀 뒤샹의 또는 마르셀 뒤샹에 의한, 에로즈 셀라비의 또는 에로즈 셀라비에 의한)’, 1935~1941년 제작
이후 뒤샹은 300개가 넘는 ‘여행 가방 속 상자’를 만들었습니다. 영업사원이 가지고 다닐 만한 가방 안에 작품을 모아둔 것입니다. 이 가방이 있다면 미술관에서 독립해 휴대용 전시를 할 수 있게 되죠.

뒤샹은 레디메이드까지 총 69점의 작품을 2차원과 3차원의 미니어처 복제품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전시용 상자에 넣어 완성했죠. 작은 소변기 모양인 ‘샘’의 복제품도 있었습니다.

24점의 고급형은 손잡이가 달린 가죽 케이스 안에 담겨 있고, 300점의 일반형은 평범한 상자 안에 담겨 있다고 전해집니다.

뒤샹이 이렇게 많이 자기 작품을 복제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작품이 팔리고 미술관에 들어가면, 그 작품은 신성화됩니다.

뒤샹은 자기 작품을 복제하면서 산업품과 미술품, 생산과 창작, 대량생산과 유일성을 구별하는 태도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마르셀 뒤샹이 ‘여행 가방 속 상자’를 열어 보여주는 모습
이는 독일의 철학자 발터 벤야민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지적한 점과도 상통합니다. 벤야민은 사진과 영화가 등장하면서 예술 작품의 일회성과 진품성이 사라진다고 봤습니다. 전통적인 예술 작품에 있는 아우라가 붕괴하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여겼죠.
뒤샹의 자화상
만 레이, ‘에로즈 셀라비’, 1921
뒤샹은 이른바 부캐 놀이를 즐겼습니다. 그는 자신의 여성형 자아를 만들어 ‘에로즈 셀라비’, 또는 ‘로즈 셀라비’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R울 두 번 겹쳐 쓴 에로즈 셀라비(Rrose Selavy)는 불어로 ‘에로스, 그것이야말로 삶(eros.. cest la vie)’이라는 말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만 레이, ‘에로즈 셀라비’, 1924년 추정
에로즈 셀라비로 분한 뒤샹은 여성처럼 화장하고, 보석을 두르고 털목도리를 하고 여성용 모자를 썼습니다. 그의 친구 만 레이가 사진을 찍었죠.

이 사진은 뒤샹의 자화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뒤샹은 에로즈 셀라비의 이름으로 작품에 서명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에로즈 셀라비를 통해 양성성에 대한 관심을 보여줬습니다.

마르셀 뒤샹이 숨겨진 거울을 이용해 찍은 사진, 1917
뒤샹이 뉴욕 브로드웨이의 한 사진관에서 찍은 자화상입니다. 뒤샹은 숨겨진 거울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 다섯 번 나오게 사진을 찍었습니다. 파이프를 문 뒤샹을 다양한 각도로 볼 수 있습니다.
마르셀 뒤샹, 측면 자화상, 1957
뒤샹이 말년에 제작한 자화상입니다. 그는 실크스크린 기법을 활용해서 여러 장 찍어낼 수 있는 자화상을 제작했습니다.

실크 스크린은 판화 기법으로 실크를 이용해 여러 장 찍어낼 수 있는 기법입니다. 앤디 워홀이 실크 스크린을 활용해 작품을 대량 복제했는데, 그 전에 뒤샹도 이 기법을 사용한 것입니다.

극비로 준비한 유작
뒤샹은 마지막까지도 유작으로 사람들을 당황하게 했습니다. 뉴욕에서 평온하게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 뒤샹은 1955년 미국 시민권을 받은 후 뉴욕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그는 1946년부터 1966년까지 마지막 작품 ‘주어진 것’을 사람들 몰래 준비했습니다. 뒤샹은 1968년 81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는데요. 뒤샹의 유언으로 ‘주어진 것’은 이듬해 설치됐습니다.

마르셀 뒤샹, ‘주어진 것’, 1946~1966, 필라델피아 미술관
이 작품을 보러 온 관객은 커다란 나무 문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 문은 손잡이가 없고 열리지도 않습니다. 대신 내부를 볼 수 있게 작은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마르셀 뒤샹, ‘주어진 것’(문을 통해 본 모습), 1946~1966
구멍으로 안을 들여다본 관객들은 깜짝 놀라게 됩니다.

마른 나뭇가지와 잎 위에 마네킹 같은 존재가 놓여 있습니다. 얼핏 보면 여성 같지만 남성도, 여성도 아닌 애매모호한 존재죠. 이 사람은 등불을 들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예술이 관음증적인 욕망의 산물이라는 점을 지적합니다. 관음증 환자가 된 관람객은 작품을 보면서 훔쳐보는 행위를 들킬 것 같은 기분이 들죠.

뒤샹의 마지막 작품은 그가 1960년에 했던 말을 실천으로 옮긴 것 같습니다.

그는 “오늘날 예술가는 그 어느 때보다 더 반종교적 임무를 추구해야 한다고 믿는다. 예술 작품은 신성모독을 가장 충실하게 드러내고 내면적 통찰의 불을 밝히는 일을 계속 해야 한다”라고 말했죠.

마르셀 뒤샹이 자신의 레디메이드 작품 ‘자전거 바퀴’ 앞에 앉아 있는 모습.
뒤샹의 예술은 난해하고 사변적이라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가 전통적인 회화의 개념을 뒤집고 현대 미술의 흐름을 바꾼 것은 분명합니다.

뒤샹은 관람자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습니다. 낡은 관념에 도전했고, 미술계의 허위 의식과 위선을 꼬집었습니다.

뒤샹은 한 강연에서 “미래의 젊은 작가들은 더욱 멀리 나아가야 한다”며 “언제나 예술 혁명의 토대가 되는 충격의 새로운 가치가 빛을 보게 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오늘날 미술은 뒤샹의 작품으로부터 얼마나 더 나아갔을까요. 뒤샹이 제시한 예술의 개념을 한 번 더 넘어서기 위해선, 어떤 전복이 필요할까요.

<참고 문헌>

-매슈 애프런 외(2019), 마르셀 뒤샹, 현실문화연구

-베르나르 마르카데(2010), 마르셀 뒤샹 :현대 미학의 창시자, 을유문화사

-돈 애즈·닐 콕스·데이비드 홉킨스(2009), 마르셀 뒤샹: 현대 미술의 혁명가, 시공사·시공아트

-마르크 파르투슈(2007), 뒤샹, 나를 말한다, 한길아트

[나를 그린 화가들]은 자화상을 통해 예술가의 삶과 작품 세계를 탐구하는 연재입니다. 아래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예술가의 뒷이야기와 대표 작품을 격주로 만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