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마두로… 독재 정권은 인플레에도 끄떡없어

김나영 기자 2024. 11. 9. 00: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틴 대선 압승, 마두로 3선 성공
지난해 7월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23일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크론시타트의 박물관을 방문해 함께 둘러보고 있다./AFP 연합뉴스

인플레이션에 대한 분노로 전 세계에 ‘정권 심판’의 바람이 불었던 한 해였지만, 집권 여당이 자리를 지킨 나라도 적진 않다. 이 나라들 사정을 들여다보면 독재 정권이거나 독재에 가까운 권위주의 정권이 들어선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러시아다. 지난 3월 대선을 치른 러시아에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역대 최고인 87.3%의 득표율을 기록해 손쉽게 승리했다. 앞서 푸틴은 2021년 관련 법을 고쳐 자신이 2036년까지 대통령직에 앉을 수 있도록 했다. 외신들은 푸틴의 다섯 번째 취임식을 ‘차르 대관식’이라 부르며 러시아의 정치 체제가 사실상 전제정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지난 7월 남미 베네수엘라에서 치른 대선에선 현직 대통령인 니콜라스 마두로가 3선에 성공했다. 당시 득표율 합계가 100%를 넘는 등 개표 조작 논란이 거세게 일었으나, 친(親)여당 성향의 대법원이 마두로 손을 들어주면서 승리를 확정 지었다. 캄보디아에선 지난 7월 선거에서 훈센 전 총리의 아들 훈 마넷이 ‘부자 세습’을 이어갔고, 조지아에선 지난달 친러시아 집권 여당이 총선에서 과반 득표를 하자 부정 선거에 반발하는 시위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아예 야권에서 ‘선거 보이콧’을 선언한 나라들도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와 국경을 접한 벨라루스, 오랜 독재가 이어져온 방글라데시 등이다.

반정부 세력에 대한 탄압이 계속되고 있는 벨라루스에선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내년 1월 7연임에 도전한다. 이 과정에서 후보 등록에 제한을 두는 등 선거 제도 자체가 불공정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으면서, 결국 범여권인 네 개 당만 선거에 참여한 상태다. 방글라데시에선 야당이 보이콧을 하는 상황에서 지난 1월 셰이크 하시나 총리가 압승하면서 5연임 최장수 총리라는 기록을 썼다. 하시나 총리는 그러나 지난 8월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축출됐고 현재는 과도 정부가 국정을 이끌고 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