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금성호 침몰에 전문가들 “무게 균형 고려 안 했을 가능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8일 제주 해상에서 전복된 129 t 급 대형어선 135 금성호 소식을 접한 전문가들은 복원력(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상실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함은구 을지대 바이오공학부 안전공학전공 교수는 "해당 어선 규모면 물고기를 40~90 t 가량은 저장할 수 있는데 물고기뿐만 아니라 그물 추 무게까지 더해져 굉장히 무거운 상태였을 것"이라며 "한꺼번에 운반선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과 복원력을 상실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일 제주 해상에서 전복된 129 t 급 대형어선 135 금성호 소식을 접한 전문가들은 복원력(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 상실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함은구 을지대 바이오공학부 안전공학전공 교수는 “해당 어선 규모면 물고기를 40~90 t 가량은 저장할 수 있는데 물고기뿐만 아니라 그물 추 무게까지 더해져 굉장히 무거운 상태였을 것”이라며 “한꺼번에 운반선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과 복원력을 상실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선장 출신인 김인현 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 센터장은 “이적 작업 중 배가 기울며 전복된 것 같다”며 “배 밑에 무게가 충분히 무거워야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서는데 이 복원성이 부족해 발생한 사고”라고 분석했다.
‘만선’의 어획량과 바닷물이 선박에 무게 압력을 더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정봉규 경상국립대 해양경찰시스템학과 부교수는 “어획물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많은 양의 해수도 같이 이동하는 거라 배 균형이 안 맞아 사고가 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창현 국립목포해양대 항해학부 교수는 “순간적으로 어획을 넣으면서 바닷물이 얼마나 들어올지 예상을 못 했고, 그래서 배가 얼마나 기울지 판단을 못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인재(人災)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정영석 한국해양대 해사법학부 교수는 “어획물을 이적하는 어로 작업을 할 땐 무게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선장이나 항해사가 그 부분을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며 “또 외국 인부들과의 의사소통 문제도 있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공길영 한국해양대 항해학부 교수는 “무게 중심이 쏠리면서 발생하는 좌우 흔들림을 막으려면 안전 수칙에 따라 밧줄로 고정해야 하지만 어업 현장에선 빨리 많은 고기를 잡기 위해 안전 조치를 종종 안 지키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20년 ‘배신의 기억’에… “트럼프 2기 인사 ‘충성심’에 달려”
- 尹, 美뉴스위크 표지모델…“尹의 가장 큰 문제는 북한이 아니다”
- 8시간 檢조사 마친 명태균 “거짓의 산 무너질 것”
- 브레이크 없는 尹지지율, 17%로 또 ‘최저치’ 경신
- 법무장관 “내 휴대전화, 집사람이 보면 죄 짓는 거냐”…尹대통령 발언 두둔
- ‘김건희 특검법’ 법사위 통과…친윤 “韓, 특검 못막으면 역사적 죄인”
- 野, 법사위서 檢 특활비-특경비 587억 전액 삭감… 與 “보복성” 퇴장
- “어획물 운반선 기다리던 중 뱅그르르 돌아… 20~30초 만에 전복”
- 12년간 법적 사망자로 산 ‘서울대 장발장’…검찰 ‘기소유예’ 처분
- 이영애, 사할린 귀국 동포-독립운동가 후손 돕기에 2000만원 기부[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