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인터뷰 ] "챗봇·아바타서 탈피···생성형 AI 상상력 키워야"

정혜진 기자 2024. 11. 8. 17: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AI분야 현장형 대가로 꼽히는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과 오순영 전 KB AI혁신센터장(AI미래포럼 공동의장)은 최근 서울 광화문에서 진행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많은 이들이 AI 거품론을 이야기하지만 모멘텀을 꼽기가 어려울 정도로 물밑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행동하지 않으면 격차는 커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동갑내기인 두 사람은 최근 네 차례, 열두 시간에 걸친 대담을 담아낸 '2025 AI 대전환'을 내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2025 AI 대전환' 펴낸 하정우 센터장·오순영 공동의장
AI 실무경험 보유자 의기투합
"CEO 직속 조직은 필수 조건
작은 성공사례 만들 시도를"
[서울경제]
지난 23일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 빌딩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에서 오순영(왼쪽) 전 KB AI혁신센터장 겸 AI 미래포럼 공동의장과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이 신간 ‘2025 AI 대전환’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정혜진기자

AI분야 현장형 대가로 꼽히는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과 오순영 전 KB AI혁신센터장(AI미래포럼 공동의장)은 최근 서울 광화문에서 진행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많은 이들이 AI 거품론을 이야기하지만 모멘텀을 꼽기가 어려울 정도로 물밑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행동하지 않으면 격차는 커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동갑내기인 두 사람은 최근 네 차례, 열두 시간에 걸친 대담을 담아낸 ‘2025 AI 대전환’을 내놨다. 기존의 AI 트렌드책이나 전략서와 다르게 이 책은 AI 경영 계획을 세우는 경영진과 실무진을 위한 지침서에 가깝다.

하 센터장은 “처음부터 AI 인력을 뽑아 놓는다면 그 사람은 꿔다 놓은 보릿자루가 되기 쉽다”며 “기존의 IT인력의 업무 숙련도를 높여 AI 역량을 갖춘 전사로 키우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당장 거창한 AI모델을 만든다거나 데이터를 모두 옮겨서 맞춤형 AI 모델에 탑재하는 게 아니라 기존에 이미 나와있는 오픈 소스 모델을 써보거나 각종 서비스들을 유료 구독하면서 AI의 수용성을 높이는 단계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오 의장은 “기존에 IT인프라 도입하듯이 부서 간 칸막이를 세운 채로 도입하는 쪽 따로, 활용하는 쪽 따로는 안 된다”며 “현업에서 문제나 불편함이 있는 부서의 구성원들이 함께 처음부터 협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센터장은 “사실 IT역량을 가진 내부 직원 3~4명으로도 시작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저자들은 음성 인식, 이미지 인식 등 기존의 오래된 사용 사례에 머물러 있는 것은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것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오 의장은 “상당수가 AI를 디바이스 안에 들어있는 무언가로 상상해 챗봇을 만들거나 아바타를 만드는 방식으로만 해결책을 내놓는다"며 “기존의 공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상상하며 다양한 시도를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단 무엇이라도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 시일이 급하다”고 덧붙였다. 하 센터장은 “프로세스를 쪼개고 정리해 이 과정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도 가능하다”며 “AI향으로 틀을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3일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 빌딩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오순영(왼쪽) 오순영 전 KB AI혁신센터장 겸 AI 미래포럼 공동의장과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이 기업들이 직면한 AI 도입 애로사항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정혜진기자

그는 “최고경영자(CEO)의 강력한 승인 속에 직속 조직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당장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 것보다는 작은 성공 사례들을 계속 만들며 구성원들에게 필요성을 설득시키고 경영진의 의지가 꺼지지 않도록 모멘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현재 지배적인 ‘AI거품론’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 봤다. 오 의장은 “지금은 AI가 ‘있으면 좋은(nice to have) 아이템’이지만 이제 ‘있어야만 하는(must have) 아이템’으로 바뀔 것”이라며 그 시기를 2028년 즈음으로 바라봤다.

/정혜진기자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