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지 품질 위해 '종이 5종 분리배출' 日 배워야”
펄프 추출할 나무 많지않은 韓
원료 수입·신문 등 재활용 중요
질좋은 종이 생산하는 일본처럼
깨끗한 분리수거체계 구축 필요
정부 재정지원 등도 뒷받침돼야
“좋은 종이를 만들려면 제지사와 원료 제공 업체 간의 협업은 필수입니다. 일본 제품보다 더 나은 품질의 종이를 만들어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 한국 제지업계의 살 길입니다.”
지난 반세기를 오롯이 제지업계에 몸담아와 한국 제지산업의 산증인으로 통하는 최병민 깨끗한나라 회장(한국종이자원진흥원 이사장)은 최근 일본 도쿄 이케부쿠로 호텔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결국 좋은 종이를 만들어야만 우리나라 제지 산업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다”며 “좋은 원료가 들어가야 좋은 종이가 나오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제지사와 원료업체는 꼭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원료를 수출하는 것보다는 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좋은 원료로 만든 좋은 종이를 해외에 내다 팔면 제지산업과 국가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한국제지연합회와 한국종이자원진흥원, 한국제지원료재생업협동조합이 일본의 종이 자원 재활용 시스템을 살펴보기 위해 함께 꾸린 일본시찰단의 단장을 맡아 현지를 찾았다. 그는 대화를 나눈 2시간 여 동안 올해 72세라는 나이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열정적으로 업계의 발전을 위해 평생 품어온 지론을 쏟아냈다.
최 회장은 먼저 제지산업의 지속 발전을 위해서는 좋은 원료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런 맥락에서 일본의 종이 재활용 환경은 배울 점이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우리나라는 펄프를 추출할 나무가 많지 않아 펄프와 재활용 종이 등 원료를 수입할 수 밖에 없다”며 “펄프만 갖고 종이를 만들 땐 품질을 관리하기가 쉬운데 재활용 종이를 사용해서 종이를 만드는 것은 좀 까다롭다”고 말했다. 이어 "깨끗한 원료가 꼭 필요한데 우리가 부러워하는 점은 일본의 재활용 종이는 참 깨끗하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나라 연간 종이 생산량은 1100만 톤 정도 된다. 이 가운데 80%가 재활용된 종이이다. 10장을 사용하면 8장은 순환되는 셈이다. 문제는 카본지·라미네이트지 등 섞이지 말아야 할 원료가 들어가는 등 분리배출이 제대로 안돼 고급 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종이 자원이 질 낮은 재활용 자원으로 쓰이고 있다는 점이다.
최 회장은 일본의 원료가 뛰어난 요인을 분리수거 시스템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에서 찾았다. 그는 “일본은 가정이 깨끗하게 분리배출한 재활용 종이가 수집상과 압축상을 거쳐 제지업체들로 들어가는 과정이 잘 정비돼 있다”며 “종이 자원의 재활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일본 고지재생촉진센터도 원료의 품질을 높이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제지연합회와 종이자원진흥원, 제지원료재생업협동조합이 일본시찰단을 꾸려 고지재생촉진센터와 압축상 등을 방문한 것도 일본 재활용 종이 자원의 고품질 비결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최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종이자원진흥원은 조직의 역할과 기능 면에서 고지재생센터와 같다. 최 회장은 “일본은 종이만 5종류로 나눠 분리배출을 하고 있는데 분리수거가 잘 될 수 있도록 우리 정부도 역할을 해줘야 한다”며 “캠페인 전개와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과 규제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규제 사례로는 20~30% 밖에 안되는 종이 재활용 압축상 부지의 건폐율을 들었다. 건폐율이 낮다 지붕을 덮을 수 없다 보니 원료가 비를 맞을 수 밖에 없고 비를 맞은 재활용 종이는 품질이 떨어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제지사와 원료사의 협업을 위해서는 제지사가 투명한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의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지사와 원료사는 공급 가격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는 경우가 적지 않다. 최 회장은 “수분 함량 수치 등 원료의 품질을 검사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원료사에 보여주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신뢰가 쌓이게 돼 갈등이 줄어들 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대화가 무르익을 무렵 그는 깨끗한나라 회장으로서 2017년 생리대 파동의 여파로 치른 홍역에 대한 소회도 털어놓았다. 한 시민단체는 그해 릴리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주장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릴리안에 들어가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라고 결론 냈지만 깨끗한나라는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최 회장은 “다른 회사 제품에 비해 우리 제품에서 검출된 양이 많지 않았는데 왜 우리 회사 제품만 타깃으로 삼았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며 “당시 시장 점유율은 크게 떨어졌고 금전적으로 3000억 원 정도의 손해를 봤다”고 토로했다. 이어 “당시 국회에도 불려나갔는데 저간의 사정을 안 의원들이 여야할 것 없이 많이 도와줬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뉴진스 음방에서 아이폰 들고 '찰칵'…SBS 중징계에 PD 교체
- '링에서 죽으라는 거냐'…'성별 논란' 난리 났던 알제리 복서, 진짜 '남자'였다
- 英 텔레그래프 '트토넘, 손흥민에 1년 계약 연장 옵션 발동할 것'
- 화장 고치다 무심하게 '삐끼삐끼' 이주은, 이제 KIA 응원단서 못 보나…'소속사와 계약 종료'
- 율희, 삼남매 데려오나…‘성매매 의혹’ 전남편 최민환에 양육권·재산분할 청구
- 장윤정, '120억' 현금 주고 빌라 산 지 두 달 만에…이번엔 '42억' 이태원 건물주 됐다
- ‘10년 열애’ 이정재·임세령, 美 행사 동반 참석 ‘눈길'
- 온 몸에 '문신', 패싸움에 갈취까지…경기 북부 'MZ 조폭' 무더기 검거
- '손흥민 복귀전 3호 도움' 토트넘, 애스턴 빌라에 '대승'
- 비♥김태희, 920억원에 매입한 강남 빌딩 가치 3년 만에 1500억원대 '급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