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악 저작권료’ 징수 세계 9위…글로벌 K팝 수요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의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이 세계 9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5일 국제저작권관리단체연맹이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징수 보고서'와 함께 자체 저작권료 징수 통계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저작권 신탁 단체들이 지난해 전 세계에서 징수한 음악 저작권료는 약 2억7900만 유로(약 4165억원)로 집계됐다.
2022년 대비 9.6% 증가한 수치로, 한국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많은 음악 저작권료를 징수한 국가로 기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이 세계 9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K팝 음반 수요의 급증 덕분이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5일 국제저작권관리단체연맹이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징수 보고서’와 함께 자체 저작권료 징수 통계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저작권 신탁 단체들이 지난해 전 세계에서 징수한 음악 저작권료는 약 2억7900만 유로(약 4165억원)로 집계됐다. 2022년 대비 9.6% 증가한 수치로, 한국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많은 음악 저작권료를 징수한 국가로 기록됐다.
보고서는 세계적인 K팝 산업의 부흥과 아이돌 팬덤 현상으로 인한 음반 수요 급증이 저작권료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한음저협이 지난해 음반 판매 등과 관련해 징수한 복제 사용료는 전년 대비 약 46% 증가한 약 1199억원에 달했다. 한음저협은 “방송, 라이브 공연, 배경음악 수익을 모두 합친 것보다 큰 규모”라고 설명했다.
공연 사용료 징수 규모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라이브 공연과 콘서트 투어가 크게 늘면서 확대됐다. 2022년과 비교하면 공연 사용료는 약 22%가 증가했다. 스트리밍 등 디지털 음악 시장의 성장에 따른 지난해 전송 사용료 징수액도 전년 대비 9% 늘었다.
한음저협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저작권료 비중이 0.017%로, 세계 30위권 수준에 그쳐 저작권료 징수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안동환 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결혼식 하객 ‘재산순 배치’ 논란에…조세호, 결국 입 열었다
- 여성에 7번 차이고 인형과 결혼한 日 남성…6년 뒤 ‘깜짝’ 근황
- 김민재 재산 얼마길래…“이혼한 아내에 최소 80억” 추측
- 유명 병원장, 프로포폴 상습 투약…아내는 중독으로 숨졌다
- 혼자 300명 사살한 우크라 드론 조종사, 게임만 하던 20대였다
- “남의 회사지만 부럽다”…‘급식대가’ 음식 맛본 은행원 소감
- 거실에 주차 가능… 지드래곤 120억 한남동 집 내부 공개
- 정종철·황규림, 자식 농사 ‘대박’…“중3 딸이 쓴 소설책, 이주의 도서 5위”
- “엄마, 사람 쳤어! 어떡해…시동 끌 줄 몰라” 무면허 20대 ‘7중 추돌’ 직후 통화
- 이주은표 ‘삐끼삐끼’ 이제 한국에서 못 보나…“소속사 계약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