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피해만 9.7조…기후변화 넋놓고 있다간 2100년 GDP 21% 날아간다

김주현 기자 2024. 11. 4. 13: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후변화 보고서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횡단보도에서 한 여성이 겉옷으로 얼굴을 감싼 채 걷고 있다. /사진=(서울=뉴스1) 오대일 기자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았을 경우 2100년에는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가 정상적인 성장 경로 대비 21%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기후변화에 대응해 온실가스 감축정책을 조기에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후변화 무대응시, 2050년 고탄소 산업 부가가치 63% 급감"
한국은행은 4일 발표한 'BOK이슈노트: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정책 대응을 하지 않을 경우 2050년 GDP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1.8% 감소했다. 이후 기후피해가 확대되면서 2100년에는 21%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기후대응 경로를 온도 상승 목표에 따라 △섭씨 1.5도(℃) 대응 △2.0℃ 대응△지연 대응 △무대응 등 4가지로 설정했다.

이 가운데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가장 유리한 시나리오는 1.5℃ 대응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무대응 시나리오는 현실가능성이 낮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보여주는 지표다.

1.5℃ 대응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이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1.5℃ 이내로 억제될 수 있도록 전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경로다. 무대응은 말그대로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가 별도 기후 대응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가정이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에 따른 전환리스크와 만성리스크는 우리나라 GDP에 장기간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리스크는 탄소가격 상승, 만성리스크는 국내 온도 상승·강수량 증가 등이다.

시나리오별로 보면 1.5℃ 대응에서는 2050년 GDP가 기준 시나리오 대비 13.1%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친환경 기술발전과 기후 피해 완화 등으로 점차 회복해 2100년에는 10.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 시나리오는 녹색금융협의체(NGFS)가 국내 인구 성장 추세를 바탕으로 제시한 성장경로다. 지난해 GDP를 기준으로 설정했다.

무대응시 2050년 GDP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1.8% 감소했다. 이후 기후피해가 확대되면서 2100년에는 21%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대응 시에는 2050년 이후부터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산업별 영향을 보면 정유·화학·시멘트·철강 등 고탄소 산업이 전환 리스크에 취약했다. 정유·화학·시멘트·철강·자동차·발전업의 부가가치는 1.5℃ 대응 시 2050년에 기준 시나리오 대비 62.9% 감소했다. 이후 회복세를 보이면서 2100년에는 32.4%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농업·식료품제조업 등은 만성 리스크에 취약했다. 온도 상승·강수 피해가 증가하는 2100년에 다다를수록 부가가치 감소폭이 확대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재윤 한은 지속가능연구팀 과장은 "온실가스 감축정책을 조기에 강화하는 것이 우리 경제에 장기적으로 유리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산업 간 연계구조를 감안할 때 탄소가격 상승 충격은 고탄소 산업에만 그치지 않고 여타 산업으로 파급된다"며 "산업 전반에서 저탄소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서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진=한국은행
물가도 올리는 기후변화…2050년 생산자물가 최대 6.6% 상승"
생산자물가는 GDP 경로와 유사하게 2050년 전후 전환 리스크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탄소가격 정책 도입으로 기업의 생산비용이 오르고 물가 상승압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2100년에 가까워질수록 만성 리스크 영향이 확대됐다. 친환경 기술이 발전하면서 생산비용이 준다는 이유에서다.

1.5℃ 대응 시 2050년 생산자물가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6.6%까지 상승했다. 이후 완화되면서 2100년에는 1.9%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무대응 시에는 기준 시나리오 대비 1.8%까지 상승했다. 무대응 시나리오에서는 탄소가격이 2100년까지 '제로'로 설정돼있기 때문에 물가 변동폭이 적게 나타났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대신 2100년 이후에도 물가가 가파르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

한편 태풍이나 홍수 등 급성리스크에 따른 실물 경제 피해 규모도 최대 10조원 가까이 발생한다고 추정됐다.

무대응시 2100년 태풍 피해는 9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1.5℃ 대응 시 피해액(7조원)보다 38% 큰 수준이다. 홍수 피해는 2100년 3조2000억원으로 예상됐다. 1.5℃ 대응 시 피해액(2조1000억원) 보다 52% 크다.

이번 연구는 한은과 금융감독원, 기상청이 함께 참여했다. 분석 내용은 현재 추진 중인 '한국은행·금융감독원·금융기관 공동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초 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김주현 기자 nar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