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뒤에도 같은 직장’ 신규 취업자, 열 명 중 네 명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취업에 성공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노동자 가운데 1년 뒤에도 같은 일자리에서 일하는 이는 열명 중 네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장사랑 고용동향조사분석팀 책임연구원이 낸 '임금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21년 기준 일자리를 얻어 고용보험에 가입한 뒤 1년을 넘겨 고용을 유지한 고용유지율은 40.1%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취업에 성공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노동자 가운데 1년 뒤에도 같은 일자리에서 일하는 이는 열명 중 네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장사랑 고용동향조사분석팀 책임연구원이 낸 ‘임금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21년 기준 일자리를 얻어 고용보험에 가입한 뒤 1년을 넘겨 고용을 유지한 고용유지율은 40.1%였다. 임금 노동자 열에 여섯은 1년을 넘기지 못하고 직장을 그만둔 셈이다.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9년 42.5%까지 41∼42%대를 꾸준히 유지하다 코로나19 유행이 닥친 2020년 39.6%로 떨어진 뒤 2021년 0.5%포인트 올랐다.
고용이 취약한 집단일수록 고용유지율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1년 이상 고용유지율은 남성 42.4%, 여성 37.9%였다. 나잇대로 보면, 30대는 46.0%인 반면 60살 이상은 34.0%에 그쳤다. 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는 44.6%, 중졸 이하는 32.0%였다. 고용 취약 집단은 2020년처럼 전체적인 고용유지율이 하락하는 때 하락 폭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노동자의 근속 기간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인데도 1년 고용유지율이 제자리걸음을 한다는 건 신규 취업자의 일자리 질이 좋지 않다는 걸 뜻한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 기간은 2012년 5.3년에서 2023년 6.2년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전체에서 1년 미만 근속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34.1%에서 2023년 29.6%로 줄고 3년 이상 근속자는 같은 기간 39.0%에서 48.9%로 늘었다.
장사랑 책임연구원은 “1년 고용유지율 수치는 새롭게 취업한 근로자의 고용 안정성이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며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짚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KBS 박장범, 모친 부당 인적공제…5년 1250만원
- ‘세월호 의인’ 한재명 잠수사, 그는 왜 이라크에서 숨졌나
- “반장도 못하면 그만둬요”…윤 탄핵 집회 초등학생의 일침
- 정년이라는 별천지…내가 보고 온 것은 ‘왕자가 된 여자들’
- “다시 정권 몰락의 길 가다니”…국힘에서도 ‘윤 사과’ 촉구 목소리
- 윤, 시정연설 불참 ‘버티기’…지지율 하락·한동훈 대표 요청 외면
- 외신 “김건희, 윤 대통령의 시한폭탄…정권 생존 위태로울 수도”
- 북한군 포로 데려온다고? 김칫국 마시는 윤정부
- “전쟁이 온다” [신영전 칼럼]
- 중국, 한국에 공들이나…파격적인 ‘무비자 입국’ 첫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