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비례로 뽑은 서울대생 학점, 모든 계열서 평균보다 높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상위권 대학 신입생을 지역 비례로 선발하자고 파격 제안한 가운데 서울대에 지역균형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우수한 성적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3일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서울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대 학부를 졸업한 학생 중 지역균형전형 출신의 평균 졸업 학점은 3.67점(4.3점 만점)으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野 백승아 "입시 경쟁에 수도권 집중…사회적 논의 필요"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상위권 대학 신입생을 지역 비례로 선발하자고 파격 제안한 가운데 서울대에 지역균형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우수한 성적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3일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서울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대 학부를 졸업한 학생 중 지역균형전형 출신의 평균 졸업 학점은 3.67점(4.3점 만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시기 서울대 학부 졸업생 전체 평균 학점인 3.61점보다 0.06점 높은 수준이다.
서울대의 지역균형전형은 일부 신입생을 사실상 지역 비례에 따라 선발하는 제도다. 지난 2005학년도부터 수시모집에 도입됐고, 2023학년도부터 정시모집에도 추가 도입됐다.
이 전형을 통과한 졸업생들의 상대적으로 높은 성적은 서울대 모든 계열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공학 계열은 지역균형전형 출신 학생들의 평균 졸업 학점이 3.50점으로, 같은 계열 전체 평균 졸업 학점(3.48점)보다 0.02점 높았다.
예체능계열은 지역균형 평균이 3.92점으로 계열 전체 평균(3.60점)보다 0.32점, 의학계열은 지역균형 평균이 3.41점으로 계열 전체 평균(3.31점)보다 0.10점 각각 높았다.
또 인문사회계열은 지역균형 평균이 3.82점으로 계열 전체 평균(3.78점)보다 0.04점, 자연과학계열은 지역균형 평균이 3.62점으로 계열 전체 평균(3.58점)보다 0.04점 각각 높았다.
올해 2월 서울대 학부를 졸업한 지역균형전형 출신 355명 중 재학 중 한 번이라도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92명(25.9%)에 달했다.
아울러 졸업 성적이 아닌 입학 직후의 학업 성취도 면에서도 지역균형전형 출신이 일반전형 출신과 비교해 크게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대는 매년 신입생의 영어와 수학 성취도를 측정하는데, 여기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에게 '기초영어'와 '기초수학' 과목을 수강하도록 한다.
올해 1학기와 여름학기, 2학기에 기초영어를 수강한 학생 중 2024학번 학생은 229명으로, 이 중 지역균형전형 출신은 11명(4.8%)에 그쳤다.
올해 전체 서울대 신입생 3천670명 가운데 지역균형전형을 통해 선발된 학생이 628명(17.1%)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현저히 낮은 비율이다.
기초수학의 경우 올해 수강생 중 2024학번은 146명, 이 중 지역균형전형 출신은 25명(17.1%)으로 전체 신입생 대비 지역균형 출신 비율과 같았다.
서울대 교수를 지낸 이창용 한은 총재는 최근 수도권, 특히 서울 강남 집중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대를 비롯한 국내 상위권 대학의 지역별 비례선발제를 제안했다.
각 대학이 신입생 전원을 지역별 학령인구 비율을 반영해 선발하되 선발 기준과 전형 방법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방식이다.
다만, 서울대는 지역별 비례선발제 도입에 대한 백 의원의 질의에 "한은이 제시한 비례선발제로 현행 모든 대입 전형을 전환하는 것은 어렵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한은 제안의 취지를 살려 지역균형전형이 지역에 상관 없이 학교 교육을 통해 성장한 우수한 학생들에게 고른 기회를 보장할 수 있는 전형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백 의원은 "과도한 입시 경쟁 때문에 수도권 집중, 사교육비 증가, 교육 격차, 소득 불평등, 사회 양극화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생과 우리 모두가 행복한 교육, 학생의 꿈과 희망을 키우는 교육,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양성 교육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anj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검찰, 농구교실 억대 자금 횡령 혐의 강동희 징역 2년 구형 | 연합뉴스
- 간호사 꿈꾼 고교생, 뇌사장기기증으로 5명 살리고 떠나 | 연합뉴스
- 中간첩 99명 체포? 체포여성 행방불명?…허위정보 무차별 살포 | 연합뉴스
- 온몸에 멍든 11살 초등생 사망…둔기로 폭행한 아버지 구속 | 연합뉴스
- [트럼프 취임] 멜라니아 패션 화제 "씬스틸러…마피아 부인 같다"(종합) | 연합뉴스
- [트럼프 취임] 멜라니아 모자에 막힌 트럼프의 키스…온라인서 화제 | 연합뉴스
- [트럼프 취임] 머스크, 파시스트식 경례…"지금 나치 인사 한거냐" 뒷말 | 연합뉴스
- 김포서 차량 10대 '묻지마' 파손한 50대 체포…경찰차도 피해 | 연합뉴스
- 생포된 북한군 병사 "우크라와 싸우는지도 모르고 왔다"(종합) | 연합뉴스
- "계엄충격에 경제규모 6조3천억 후퇴"…쏘나타 22만5천대 맞먹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