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비자 장벽’ 허물다.. 제주 관광, 기회와 긴장 속 ‘해법’ 무엇?
국내 업계, 수요 이탈 우려.. 경쟁력 강화 ‘비상’
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발표하면서 국내 여행업계 등 관광시장에 큰 파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중국을 향한 관광 수요의 폭발적 증가가 기대되는 가운데, 제주는 물론 국내 여행지들이 새로운 경쟁 구도에 직면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일본에 이어 관광 수요 분산을 걱정하는데서 나아가, 이번 기회를 어떻게 활용하고 대응해야할지 생산적인 고민이 뒤따라야할 것이란 주문입니다.
■ 한중 관광 교류의 급물살.. “15일 이내 중국 방문 무비자”
앞으로 15일간의 중국 내 무비자 체류가 가능해지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인은 비자 발급 절차 없이 중국을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앞서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과 외국 간 인적 교류를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비자 면제 범위를 확대한다”라면서, 이같은 결정이 한국과 중국 간 교류를 촉진할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에도 한국을 포함한 12개 국가에 대해 비자 수수료를 25% 인하한 바 있는데, 이번 무비자 정책 시행으로 더욱 교류 물꼬가 트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오는 8일부터 한국을 포함해 9개국 일반 여권 소지자에 대해 비자 면제 정책이 시행됩니다. 우리나라가 중국의 무비자 대상 국가에 포함되기는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처음입니다.
무비자 정책에 포함된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슬로바키아,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아이슬란드, 모나코, 안도라공국, 리히텐슈타인 등 9개 국으로, 중국의 일방적 비자 면제 대상 국가는 20개국에서 29개국으로 확대됐습니다. 이번 대상에서 미국과 일본은 제외됩니다.
중국의 무비자 정책은 내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우리 국민은 내년 말까지 비즈니스, 관광, 친지 방문 등을 목적으로 중국을 방문할 경우 최대 15일 동안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게 됐습니다.
■ 여행업계 “관광 활성화 기대”↔ 상대적, “수요 이탈 우려도”
이번 중국의 무비자 정책 시행으로, 국내 여행 업계는 중국 여행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적어도 예년 대비 두 배 이상 많은 한국인 관광객이 중국을 방문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옵니다.
실제 코로나 19 이후 억눌렸던 해외 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올해 3분기만 해도 중국행 패키지 예약이 전년 대비 112%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때문에 이번 무비자 정책으로 중국 방문 길이 더 확대될 경우, 상대적으로 제주를 비롯해 국내 시장에 미칠 파급력이 더 커질 것이란 예상도 더해지고 있습니다. 해외로 빠지는 발길이 늘고 그만큼 국내 수요가 줄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간 제주도는 무비자 접근성과 면세 혜택을 앞세워 관광 입지를 키웠고, 내국인 위축세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급증세를 이끌면서 선방해왔습니다.
하지만 비자 면제와 함께 중국이 보다 폭넓은 관광 기회를 제공하면서 이같은 수요들이 상당 부분 이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 중국 내수 진작.. 관광업계의 경쟁 촉발
중국 정부가 무비자 정책을 내세운 배경에는 코로나 이후 내수 활성화에 대한 정책 당국의 고민이 자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국 다양한 국가에 대한 비자 면제 확대는 외국인 관광객 유입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한국 관광객이 중국을 방문할 경우 중국의 관광 산업 또한 큰 혜택을 볼 것이란 전망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물론 ‘아웃바운드(Outbound. 내국인의 해외여행)’ 업계에선 이번 무비자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중국 여행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응한 중국 여행상품과 관련 프로모션 강화에 나섰습니다.
관련해 한 중견 여행업계 관계쟈는 “무비자 허용으로 그동안 중국에 대한 선호도가 덜하거나 관심도가 낮았던 20대 청년층이나 중.장년층까지도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라면서 “11월 이후 중국 여행 수요가 예년 대비 두 배 이상 늘 것으로 보고 관련 상품과 마케팅을 서두르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종전 일본을 주축으로 동남아, 그리고 국내에선 제주로 국한되던 여행 선택지가 보다 다변화되면서 수요 이탈까지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 밖에 없는 대목입니다.
■ 장기적 영향.. “관광지 리포지셔닝(Re-Positioning) 필요”
한시적이긴 해도 중국의 무비자 정책전환은 관광 수요 확대를 넘어, 한중 간 관광 및 경제 교류를 촉진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서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중단됐던 한국인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지난해 2월 재개했고 중국을 경유해 제3국으로 갈 때 72시간 또는 144시간 동안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도록 허용한데 더해 이번에 그 폭을 더 완화했습니다.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시진핑 중국국가 주석 방한이 기대되는 가운데, 비자 면제 조치까지 시행돼 한중 간 인적 교류에 한층 더 기대감을 더하는 조치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그만큼 이번 중국의 한국에 대한 무비자 정책 허용은 한중 간 교류 확대와 관계 개선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는 평가가 더해집니다.
물론 관련 업계의 기대감만큼이나, 상대적으로 국내 여행업계는 중국의 무비자 정책에 발맞춰 중국을 대체할 국내 여행 상품 개발과 기존 관광지의 ‘리포지셔닝’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르는 상황입니다.
말 그대로, 기존 브랜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강화하여 시장에서의 입지를 새롭게 정의하듯, 급변하는 관광시장 트렌드나 요구에 부응해 새로운 상품 개발과 전략들을 서둘러야 한다는 얘기로 해석됩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주도만 하더라도 종전 ‘휴양지’ 이미지를 탈피해 보다 고급화하거나 차별화된 여행 상품 개발을 통해 수요층을 더 넓히는 고민이 필요하다”라며 “중국을 향한 여행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경우, 제주는 기존 일본과 동남아에 이어 해외 관광지와 경쟁하며 차별화된 경험과 가치 제공이란 과제들을 현명하게 해결해야 한다는 얘기”라고 풀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위기가구 죽음' 마주하는 사회복지공무원 '기댈 곳 없다'
- “자전거·하이킹 천국, 이제 대만과 만나”.. 제주 매력에 ‘풍덩’
- "밤만 되면 화물차가 슬그머니".. 얌체 밤샘주차 단속 강화
- '페이퍼 보호구역'인가...제주 해양생태계 관리 '부실'
- '호국영웅' 제주마 레클리스, 70년만에 고향에 동상 세운다
- 육아휴가 신청하자 쏟아진 업무꼬투리·타박...하다하다 퇴사 종용까지
- '독도는 우리땅' 불렀다 日 누리꾼 표적된 韓 걸그룹
- “결혼하고 애 낳고, 누구 좋으라고?” 정책 지원에도 ‘2040’ 등 돌렸다.. 남 “돈 없어” vs 여
- 어떻게 해야 1년 내내 호텔이 ‘만실’?.. “여행의 시작부터 끝까지 이끌었더니, 외국인 열에 아
- 여야 대표 '한동훈-이재명' 11년 만에 회담.. 공약추진 기구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