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혁신지수 15년 연속 세계 1위, 산학연 생태계 덕분”
“사람 모으고 협력 이끌어야 혁신 일어나
인프라와 자금 지원, 해외 기업도 유치”
스위스는 인구 약 800만명의 작은 나라다. 한국이 5200만명의 인구라는 것을 감안하면 인구 규모는 6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하지만 스위스는 전 세계 산업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세계지식재산기구(WIPO)는 지난 10월 글로벌 혁신 지수(GII)를 발표하면서 스위스를 1위로 꼽았다. 15년 연속 1위이다. 한국은 올해 6위이다. 스위스는 산학 연구개발(R&D), 지적재산권 분야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유럽의 작은 나라인 스위스가 기술 혁신의 중심에 설 수 있던 이유는 무엇일까.
소피 셀니 스위스이노베이션 부사장은 31일(현지 시각)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한-스위스 생명과학 심포지엄’에서 조선비즈와 만나 “스위스이노베이션의 모토(motto·좌우명)는 ‘말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줘라’로, 실질적인 산업 혁신이 이뤄지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그 중심에는 스위스이노베이션의 혁신 공원이 있다”고 소개했다.
스위스이노베이션은 스위스 내 혁신 공원 6곳을 운영하는 비영리 민간 기구다. 스위스의 혁신 공원은 한국으로 치면 산학연 클러스터, 테크노파크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 개발이 필요한 기업이 대학이나 연구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이다. 스위스 혁신 공원은 전 세계의 다른 산학연 협력 모델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 받는다. 현재까지 스위스 혁신 공원에 입주한 기업은 650곳 이상, 재직자만 1만7000여명에 달한다.
셀니 부사장은 스위스 혁신 모델의 성공 비결을 묻는 질문에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이 모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물리적인 공간”이라면서도 “결국 혁신은 커뮤니티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그는 스위스 혁신 공원의 성공이 자생적인 생태계 구축에 성공한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기업과 연구자들이 만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위스이노베이션은 혁신 공원이라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협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혁신 공원 6곳에서 운영하는 협력 프로그램은 15개에 달한다.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미래 기술에 대비하고, 협력을 통한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산업계와 연구계의 소통을 도울 ‘커뮤니티 매니저’도 상주하고 있다. 커뮤니티 매니저는 산업계와 학계의 경험을 모두 가진 전문가다. 연구자들이 가진 아이디어가 산업계를 통해 실제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소통을 돕는 역할을 한다.
셀니 부사장은 “혁신은 구성원들을 통해 주도되는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은 우리 같은 기관이 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개별 기업이 투자하기 어려운 인프라(기반 시설)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도 기업들이 스위스 혁신 공원을 찾는 이유다. 셀니 부사장은 “스위스 북서부의 작은 도시인 비엘(Biele)은 기업들이 자신의 제품을 디지털화할 수 있는 ‘스위스 스마트 팩토리’라는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기업 80곳이 비엘 혁신 공원에 입주했으며, 자신의 제품을 디지털화하는 동시에 다른 기업들과 협력이 이뤄진다”고 말했다.
제약·바이오 분야 기업과 연구소가 모인 바젤 혁신 공원은 2029년까지 인프라를 개선한다. 바젤 혁신 공원은 현재 기업 40여곳이 입주해 있으며, 연구기관은 12곳이 참여할 정도의 큰 규모를 자랑한다. 여기에 11만㎡ 규모의 인프라 구축이 추가로 완료되면 더 많은 글로벌 기업이 입주할 전망이다.
셀니 부사장은 스위스와 한국의 협력이 혁신 공원을 통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내비쳤다. 그는 “스위스 혁신 공원은 해외 기업에게도 문이 열려 있으며, 이미 한국 기업인 패티앱젠, 프리클리나가 입주했다”며 “최근 한국바이오협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한국 기업들이 스위스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도 기업 유치에 힘을 보태고 있다. 바젤시는 인근 도시인 쥐라, 바젤란트샤프트와 함께 기금을 마련하고 혁신 공원 입주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바젤시에 따르면 스타트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베이스런치(BaseLaunch)를 통해 현재까지 24개 기업에 6억달러(약 8265억원)를 투자했다. 콘라딘 크래머 바젤 시장은 30일 “베이스런치를 비롯해 혁신 기술 개발 지원 프로그램 데이원(DayOne) 등을 운영하고 있다”며 “바젤에서 혁신적인 제약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이유는 투자금 확보가 그만큼 쉬운 덕분”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삼성전자, P2·P3 파운드리 라인 추가 ‘셧다운’ 추진… 적자 축소 총력
- “트럼프 수혜주”… 10월 韓증시서 4조원 던진 외국인, 방산·조선은 담았다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② 의대 가려고 과학고 조기졸업 악용, KAIST가 거부한다
- 가는 족족 공모가 깨지는데... “제값 받겠다”며 토스도 미국행
- 오뚜기, 25년 라면과자 ‘뿌셔뿌셔’ 라인업 강화… ‘열뿌셔뿌셔’ 매운맛 나온다
- [인터뷰] 와이브레인 “전자약 병용요법 시대 온다… 치매·불면증도 치료”
- ‘꿈의 약’ 위고비는 생활 습관 고칠 좋은 기회... “단백질 식단·근력 운동 필요”
- 위기의 스타벅스, 재택근무 줄이고 우유 변경 무료 나섰다
- “원금 2.6배로 불려 평생 연금 드립니다” 460억대 불법 다단계 적발
- ‘위스키·하이볼 다음은 브랜디?’... 종합주류기업 격전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