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장 들어선 북한군, 첫 교전서 사실상 전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편에서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이 첫 교전에서 사실상 전멸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현지 시각) 리투아니아 공영방송 LR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돕는 비영리단체 '블루옐로'(Blue/Yellow)의 요나스 오만 대표는 소식통을 통해 지난 25일 우크라이나가 통제하고 있는 쿠르스크 지역에 투입된 북한군이 첫 교전에서 한 명을 제외하고 전원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편에서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된 북한군이 첫 교전에서 사실상 전멸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현지 시각) 리투아니아 공영방송 LRT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돕는 비영리단체 '블루옐로'(Blue/Yellow)의 요나스 오만 대표는 소식통을 통해 지난 25일 우크라이나가 통제하고 있는 쿠르스크 지역에 투입된 북한군이 첫 교전에서 한 명을 제외하고 전원 사망했다고 밝혔다.
최근 우크라이나 정부와 미국 매체 등은 북한군이 이미 전장에 투입됐다는 소식을 입수했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오만 대표는 지난 25일 북한군이 첫 교전에 들어갔으며 사실상 전멸했다는 보고서를 입수했다고 했다.
오만 대표는 “6개월 전 북한 병사의 투입 징후를 전달받았다”며 “당시 북한군은 벨라루스에서 벨라루스 부대(제103 공수 여단)와 함께 훈련을 받고 있었다”고 전했다. 벨라루스는 대표적인 친(親)러 국가다. 그러면서 몇 달 전 자신들이 투입한 무인기에 의해 첫번째 북한군이 사망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25일 전투에서 한 명을 제외하고 모든 북한군이 전사했다고 했다. 살아남은 군인은 부랴트인(러시아 부랴트 공화국)이라는 서류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앞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자국군과 북한군으로 구성된 특별 부대 '부랴트'를 구성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오만 대표는 우크라이나군이 북한의 국기 '인공기'를 들고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군이 대거 사망했다는 첫 교전에서 북한군으로부터 탈취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북한군 파병 규모에 대해) 1만 5000명, 그 다음은 1만 1000~1만 2000명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다”며 “지금 내가 아는 한 북한은 총 8만8000명을 보낼 계획이다. 이는 길거리에서 들리는 소문이 아니라 '첩보'”라고 강조했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김영선 해주라 그랬는데”…민주당, 윤석열-명태균 통화 녹음 공개
- 산업부 “체코 반독점당국 원전계약 일시보류, 진정 절차일 뿐”
- 삼성전자, 3분기 반도체 영업익 3.9조원…전사 매출은 분기 최대치
- 추억의 PC 통신 '천리안' 역사 뒤안길로…39년만에 '서비스 종료'
- “우크라 전장 들어선 북한군, 첫 교전서 사실상 전멸”
- 현대百그룹 차남 정교선, 14년 만에 현대홈쇼핑 회장 승진
- 현대차 수소전기 콘셉트카 '이니시움' 공개
- 러, 구글에 '천문학적' 벌금 폭탄… “전 세계 GDP보다 많은 금액”
- 비트코인, 반년만에 '1억원대' 진입… 전날 7만 3000달러선 터치
- 기아, 국내 다섯 쌍둥이 가정에 The 2025 카니발 9인승 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