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생산지 먼 바다·육상·해외로 넓힌다…국제표준화·등급제로 ‘제값받기’ 시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내수와 수출에 필요한 김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먼 바다, 육상, 해외 등 생산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물량 확대에 더해 K-김 브랜드화, 국제표준화 추진, 등급제 도입 등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우리 김 '제값 받기'에도 속도를 낸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우리 김의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개선방안을 담은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정적 생산기반 마련 및 고부가가치화
브랜드화로 2027년 수출 10억달러 목표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가 내수와 수출에 필요한 김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먼 바다, 육상, 해외 등 생산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물량 확대에 더해 K-김 브랜드화, 국제표준화 추진, 등급제 도입 등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우리 김 ‘제값 받기’에도 속도를 낸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우리 김의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개선방안을 담은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전 세계적으로 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국내 전체 김 원료(물김) 생산량은 연 50만~60만톤(t) 수준에서 유지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6월 김 산업 협의체를 구성, 김의 안정적인 공급은 물론 품질 제고에 초점을 맞춘 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우선 내수·수출에 필요한 물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양식면적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기존에 발표한 2700㏊(헥타르·1㏊는 1만㎡) 규모 신규 양식장 개발과는 별도로 먼바다(수심 35m 이상 외해)에서의 김 양식도 1000㏊ 규모로 처음 시도한다. 내년에는 해외 생산기지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아울러 양식관리선의 입·출항, 물김 보관, 수산물 가공 등 양식 과정에 최적화된 ‘양식전용 어항’의 타당성도 검토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해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을 2026년까지 개발해 보급한다.
정부는 김 생산·가공 부문에 소규모·영세업체가 많아 품질 향상과 자동화를 위한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양식장이 통합해 어업법인화하면 정부 지원사업에서 우대해주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물김 자동 적재 등 김 양식 자동화 시스템도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300여개의 마른김 업체를 조직화한 ‘마른김 수협’(가칭) 출범 등 협력 모델을 발굴하고, 내년부터 기존 김 가공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는 작업에도 착수한다.
생산 증가에 맞춰 물류시설도 확충한다. 전남 산지거점유통센터(FPC)를 신축하고, 나주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를 증축해 물류비용을 줄인다. 김 가공·연구개발(R&D)·수출의 거점이 될 수산 식품 수출단지도 2026년까지 목포에 조성한다. 이와 함께 김 거래의 투명성을 높일 ‘마른김 거래소’ 설립도 추진한다.
정부는 물량 확대에 그치지 않고 부가가치 제고를 통해 지속적인 시장 성장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해외에서 우리식 영문 명칭인 ‘GIM’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우리 김 제품 규격안이 글로벌 스탠다드가 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도 추진한다. 국제표준으로 인정되면 비관세 장벽이 완화돼 수출이 더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김 등급제’도 2027년까지 도입한다. 고품질의 우리 김이 ‘제값’을 받으려면 좋은 김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밖에 종자·양식·가공·수출 업계가 모두 참여하는 ‘김 산업 협의체’를 정기적으로 운영해 김 산업 현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7년까지 김 수출 1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7억9000만달러(약 1조900억원)로 처음 1조원을 돌파한 바 있다. 내년 마른김은 올해보다 1000만속(1속은 100장) 늘어난 1억6000만속이 생산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방안을 통해 국민들이 부담 없이 김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 김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y2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혼’ 김민재, 재산분할만 최소 80억 이상?…양육비는 별도로
- ‘성매매 논란’ 최민환, 잠정 퇴출…FT아일랜드 2인 체제로
- “체지방 많고 근육량 적은데 어쩌나”…‘이 병’ 위험, 확 높아진다고?
- "감히 리사를 이기려고"…태국서 '로제 거부 운동' 일어난 이유?
- "다른 남자와 잠자리 요구" 흑백요리사 트리플스타 '범죄적 사생활' 논란
- “강아지는 이코노미석으로 가세요”…승무원 요청에 결국 반려견 죽었다
- ‘흑백요리사’ 이영숙 빚투 터졌다…“3억 빚지고, 또 방송출연?”
- 홍삼, 이렇게 좋은 거였어?…“‘이 암’ 성장·억제에 효과”
- 54세 맞아?…비키니 모델 대회 2위女 “첫 다이어트 성공, 비결은”
- “아이돌이 만만한가” 세븐틴 승관, 하이브 '외모 품평' 보고서 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