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으로 날아온다, '가장 예술적인 도시' 오스트리아 빈의 1900년
레오폴트미술관 특별전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주요 작품으로 미리 가보는
빈의 찬란했던 190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은 1900년 세계에서 가장 예술적인 도시였다. 제국 수도의 넘실대는 풍요 속에서 예술가들은 재능을 꽃피웠다. 극작가 슈테판 츠바이크는 이렇게 썼다.
“빈은 축제의 도시였다. 매일이 새로웠고, 듣지 못했던 것과 보지 못했던 것들이 도처에 가득했다. 무엇이 아름다운가를 아는 것, 인생을 즐기는 것, 그리고 축제를 여는 것이 빈 사람들의 특별한 재능이었다.”
하지만 그 속은 곪아 들어가고 있었다. 600여 년간 유럽을 호령한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광은 영국과 프랑스, 독일의 약진에 빛이 바랜 지 오래. 10개 넘는 민족을 한데 묶어온 제국의 힘은 노(老)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목숨과 함께 사그라들고 있었다. 부패한 사회 지도층은 향락에 몰두했고, 도시의 뒷골목은 극심한 빈부격차로 신음했다.
풍요와 향락, 빈곤과 멸망에 대한 예감이 공존하는 이 도시의 모순적인 풍경은 다양한 생각과 예술을 낳았다. ‘빈 분리파’를 이끈 황금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청춘의 초상을 그린 에곤 실레, 20세기 그래픽아트를 바꾼 콜로만 모저, ‘오스트리아의 반 고흐’ 리하르트 게르스틀 등 미술사에 길이 남은 거장들이 활동한 것도 이때다. 비록 10여 년 뒤 제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사라예보에서 황태자를 총탄에 잃고(사라예보 사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면서 해체되지만, 천재 예술가들이 남긴 찬란한 걸작들은 영원히 남았다. 극작가 카를 크라우스가 “빈은 세계의 종말을 위한 실험실이었지만 거기서 새로운 세계가 태어났다”고 말한 이유다.
오는 11월 30일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 개최하는 전시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은 클림트와 실레, 모저와 게르스틀이 남긴 걸작 원본을 국내에서 즐길 수 있는 기회다. 전시의 주요 작품과 이 작품들을 소장한 빈 레오폴트미술관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 전시를 미리 돌아봤다.
주요 작품 5개로 미리 보는 1900년의 빈
미술 전시회가 요리라면 그곳을 채우는 출품작은 재료다. 재료가 요리 맛을 좌우하듯 전시 관람 만족도는 보통 작품 수준에 정비례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는 조금 다르다. 재료도 걸작이지만 ‘요리 솜씨’가 특출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회화와 조각 등 다양한 유물에서 생생한 이야기를 뽑아내 미술사, 역사, 당시 생활상까지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지난해 박물관의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을 둘러본 사비나 하그 오스트리아 빈미술사박물관장이 “빈미술사박물관 소장품을 해외에 전시한 것 중 역대 최고”라고 말한 이유다.
오는 11월 30일 개막하는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전시도 비슷한 기대를 받는다. 큐레이터는 양승미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사로, 합스부르크전과 동일하다. 벌써 전시장은 당시 빈의 분위기와 새로운 미술 사조인 ‘빈 분리파’, 이들이 만들어낸 걸작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새단장 중이다. 개막을 한 달 앞둔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이 공개한 주요 작품을 통해 전시 흐름을 미리 간략하게 살펴봤다.
① 구스타프 클림트, ‘수풀 속 여인’(1898)
새로운 미술은 늘 “고리타분한 것들은 가라”고 소리치는 젊은 세대의 ‘반항’에서 시작한다. 인상주의가 그랬고, 이번 전시의 주인공 격인 빈 분리파 화가들이 그랬다. 1897년 빈에서 활동하던 젊은 화가들은 “각 시대에는 그 시대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구호 아래 분리파를 결성하고 새로운 예술 세계를 펼쳐 나갔다. 그 수장이 당대 최고 인기 화가인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였다.
이 그림은 클림트 작품 특유의 개성과 매력이 잘 드러난 초상화다. 그의 섬세한 그림은 우아하고 관능적이며 매혹적이지만 한편으로는 묘하게 퇴폐적이고 도발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그의 작품이 보수적인 기성 오스트리아 미술계와 때때로 마찰을 빚은 이유다.
② 에곤 실레의 ‘작은 마을’(1913)
에곤 실레(1890~1918)가 스물여덟 살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지만 않았다면 서양 미술은 지금과 많이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클림트 사후 실레는 빈 분리파의 새로운 리더로 떠올랐다. 그는 클림트의 제자지만 완전히 새로운 미술을 창조해냈다. 고통, 불안, 성(性), 죽음 등을 강렬한 화풍으로 가감 없이 표현한 그의 독창적인 초상화들은 10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 ‘젊음의 초상’으로 전 세계인에게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접할 기회가 많지 않지만, 그의 독특한 풍경화도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소설가 한강(54)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그의 대표작 <채식주의자> 초판본 표지가 실레의 그림 ‘네 그루의 나무’였다는 사실이 재조명됐다.
③ 리하르트 게르스틀의 ‘반신 자화상’(1902~1904)
‘새 시대의 새 예술’을 추구한 게 분리파였지만, 그런 분리파조차 고리타분하다고 여긴 화가가 있었다. 리하르트 게르스틀(1883~1908)이다. 게르스틀의 미술은 너무 실험적이고 급진적이어서 사람들에게 잘 이해받지 못했다. 후광을 연상시키는 신비로운 푸른빛 배경, 파격적인 반나체로 자신의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이 단적인 예다. 사람들의 몰이해와 실패한 사랑에 좌절한 그는 젊은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게르스틀의 별명 중 하나가 ‘오스트리아의 반 고흐’인 이유다.
④ 오스카 코코슈카의 ‘헤르만 슈바르츠발트 Ⅱ’(1916)
오스카 코코슈카(1886~1980)는 분리파에서 출발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영역을 구축한 화가다. 강렬한 색채와 과장된 형태를 썼다는 점에서는 다른 분리파 화가와 비슷했지만 그는 여기서 한 발 나아갔다. 내면의 깊은 감정과 정신적 상태를 거친 붓질로 역동적으로 표현한 코코슈카의 화풍은 훗날 세계 현대 미술의 주류가 된 표현주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⑤ 콜로만 모저가 디자인한 ‘와인잔, 메테오 100번’(1899)
전시장에 그림만 나와 있는 건 아니다. 이번 전시의 중요한 한 축은 ‘디자인’이다. 예술은 박물관이나 상류층 대저택에만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매일 쓰는 컵과 의자에도 있을 수 있다는 게 분리파의 생각이었다. 그래서 분리파는 ‘빈 공방’을 설립해 실용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식기와 가구 등을 제작했다. 모더니즘 디자인의 시작을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다.
빈 공방은 중산층도 살 수 있는 합리적인 상품 가격을 매기기 위해 비용을 절감하려고 노력했다. 디자인과 생산 등 여러 공정을 각기 다른 회사에서 담당하는 분업이 대표적이다. 빈 공방에서 분업 방식으로 생산한 첫 번째 제품이 이 와인잔이다. 상품 디자인부터 순수예술까지 다양한 시각예술을 통해 당시 빈의 모습과 분위기를 입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이번 전시만의 매력을 상징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디자이너는 콜로만 모저(1868~1918). 분리파 창립 멤버였던 그는 다재다능한 만능 예술가다. 그래픽, 포스터, 제품 디자인 등에 매진하던 그는 훗날 회화에도 손을 뻗는다. 이번 전시에는 그가 디자인한 제품은 물론이고 회화도 걸려 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국이 이럴 수가" 한국 기업들 '당혹'…삼성·LG도 당했다
- 내년부터 미국 가기 쉬워진다는데…무슨 일?
- "상상도 못 했는데…" 편의점에 '어르신' 많이 보인다 했더니 [이슈+]
- 무인 사진관서 성관계한 커플에 업주 '충격'…"가게 접겠다"
- '서핑 성지' 양양에 사람 몰리더니…놀라운 결과 나왔다
- "우리 아파트 주차장도 뚫렸다니까요"…당근 공습에 '초비상' [돈앤톡]
- 로제 '아파트 효과' 끝?…"돈 좀 벌어보려다가 망했다" 비명
- 무인 사진관서 성관계한 커플에 업주 '충격'…"가게 접겠다"
- 배추 이어 이번엔…"김장, 골치 아프네" 50년 만에 벌어진 일
- '2억 성형' 유명 여성, 과거 사진 보니…"인생 바뀔만 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