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년새 GDP 11배 ↑ 수출 10배 ↑… 이젠 ‘성장 탄력’ 지켜라[창간 33주년 특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상전벽해(桑田碧海·뽕나무밭이 변해 푸른 바다가 된다).'
그동안 한국의 경제 성장을 이끈 '기관차'가 수출이었다는 사실을 수치로 보여주는 셈이다.
소규모 개방경제라는 특성을 가진 한국 경제가 앞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여부도 수출을 포함한 대외 경제 관계에 달렸다는 데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다.
한국이 성장 탄력을 잃어버린 유럽의 많은 선진국 같은 장기 저성장 혹은 마이너스 성장의 '늪'으로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91~2024 통계로 본 대한민국 - ‘상전벽해’ 경제
1인당 GNI 5배 넘게 상승
해외여행·고가품 구매 척척
‘선진경제’의 반열에 올라서
올해 잠재성장률 2.0% 예상
유럽 저성장 전철 안밟으려면
앞으로 다가올 30년 대비를
‘상전벽해(桑田碧海·뽕나무밭이 변해 푸른 바다가 된다).’
문화일보가 창간된 1991년과 지금을 비교해보면 한국의 변화상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창대하다. 통계는 흔히 10년 단위로 끊어서 비교하는 것이 상례이고 문화일보 법인은 창간보다 한 해 빠른 1990년에 설립됐다는 사실을 고려해 1990년과 올해(또는 연간 통계가 있는 2023년) 사이 한국 경제의 주요 변화상을 살펴보면 이 같은 사실은 분명히 드러난다.
31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실질 기준)은 1990년 9.9%에서 지난해(2023년, 잠정) 1.4%로 급락했다. 경제성장률은 개발도상 단계에서는 높지만 선진국 경제로 접어들고 경제가 성숙 단계에 접어든 뒤에는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화일보가 성장해온 지난 30여 년 동안 한국 경제도 빠르게 성장해 선진 경제 반열에 들어선 것이다. 다만, 경제가 성숙하는 과정과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저출산·고령화가 맞물리면서 향후 한국 경제의 진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 것은 앞으로 ‘한국호(號)’가 헤쳐나가야 할 과제다.
경제성장률은 떨어졌지만 한국 경제 자체의 덩치는 급증했다. 1990년(명목 기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200조5562억 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잠정) 우리나라 GDP는 2236조3294억 원으로 급증했다. 30년 남짓한 세월 동안 GDP가 11배 이상으로 커진 것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봐도 지난 3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국민은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부(富)를 축적해왔다. 1990년 6601.5달러였던 1인당 GNI는 지난해(잠정) 3만3745달러로 급상승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의 행동 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다. 주머니에 돈이 많아지면 평소에 사기 어려웠던 고가품 구매도 쉬워지고, 자녀가 원하면 해외 유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으며, 부부가 해외여행을 떠나는 등 여가 생활을 즐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지난 30여 년 동안 겪은 경제적 변화상을 요약하면, 단순히 배고픔에서 벗어났을 뿐만 아니라 선진국 국민이 누리던 많은 것을 우리나라 국민도 할 수 있게 됐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수출(관세청 통관 기준)은 1990년 650억 달러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6322억 달러로 늘었다. 30년 남짓한 기간 동안 9.72배로 급증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의 경제 성장을 이끈 ‘기관차’가 수출이었다는 사실을 수치로 보여주는 셈이다. 소규모 개방경제라는 특성을 가진 한국 경제가 앞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여부도 수출을 포함한 대외 경제 관계에 달렸다는 데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다. 다만, 한국 경제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기초 체력을 나타내는 잠재성장률(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는 최대 성장률)이 급락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1990년대만 해도 7~8%대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2001년 5.4%에서 2011년 3.8%, 2021년 2.2%에 이어 올해(2024년)는 2.0%에 머물 것으로 분석됐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OECD가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2030∼2060년에는 연평균 0%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는 것이다. 한국이 성장 탄력을 잃어버린 유럽의 많은 선진국 같은 장기 저성장 혹은 마이너스 성장의 ‘늪’으로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지나간 30여 년의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앞으로 다가올 30여 년을 대비하기 위해 국민 모두의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해동 기자 haedong@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41년 ‘5000만명’ 붕괴… 2072년 국민 절반 환갑[창간 33주년 특집]
- 1000명당 주택 수, 1995년 214.5가구 → 2022년 430.2가구[창간 33주년 특집]
- [속보]박지원 “유학간 아들 숨기려 김주애 내세워…어떻게든 아들 생산했을 것”
- 전쟁투입위해 흉악범 풀어주자 러시아서 벌어진 일
- [속보]“북한군, 우크라와 교전해 한 명 빼고 모두 전사”…우크라 지원 NGO 주장
- “본인 와야 인출되세요” 침대 실려 은행 온 노인
- “쏘이면 30초 내 사망” 집에서 발견된 전갈…“쉬인·테무 소포에 붙어 왔을 수도”
- 67조원 재산 중국 최고부자 된 41세 남성의 정체
- [속보]허은아 “김여사가 ‘만나자’ 전화…한동훈에게 얘기하라고 했다”
- ‘김정숙 여사 샤넬 재킷’ 확보한 검찰…포렌식센터에 감정 의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