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경대] 반전(反戰)의 절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베트남전이 한창이던 1965년 7월 김동희 병장이 부산 병기학교를 탈영했다.
그는 8월15일 고기잡이 배에 의지해 일본 대마도로 갔다.
김 병장이 밝힌 탈영 이유는 베트남 파병 거부였다.
미 육군에 입대한뒤 일본 주둔중 1966년 베트남에 파병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전이 한창이던 1965년 7월 김동희 병장이 부산 병기학교를 탈영했다. 그는 8월15일 고기잡이 배에 의지해 일본 대마도로 갔다. 하지만 곧 일본 경찰에 체포되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갇혔다. 김 병장이 밝힌 탈영 이유는 베트남 파병 거부였다. “죄 없는 베트남 사람들을 죽이고 싶지 않았다. 또 나를 포함한 우리 한국군도 죽고 싶지 않았다.”
1967년 4월. 한국계 미군인 케네스 크릭스(한국명 김진수) 일등병이 도쿄주재 쿠바대사관에 망명을 요청했다. 서울서 태어난 김진수는 6·25로 부모를 잃은 전쟁 고아였다. 열한 살 무렵 미국인 가정에 입양돼 미국으로 갔다. 미 육군에 입대한뒤 일본 주둔중 1966년 베트남에 파병됐다. 1년 뒤 휴가차 찾은 일본에서 망명을 감행했다. 전쟁으로 가족을 잃은 한 인간의 탈출이었다.
일본에서 반전운동을 하던 한 시민단체가 1967년 11월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요코스카항에 정박 중이던 미 항공모함 인트래피드호에서 탈영한 미군 4명이 국외로 안전하게 떠났다는 발표였다. ‘인트래피드 4’라고 명명된 미군 4명은 베트남 파병을 거부하며 평화와 자유를 찾아 스웨덴으로 갔다.
러시아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이 한층 더 격화되고 있다. CNN은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에 침투했다고 보도했다. 리투아니아 비영리기구는 우크라이나군과 북한군의 첫 교전이 쿠르스크에서 이뤄졌고 러시아 몽골계 원주민으로 위장한 북한군은 1명 빼고 모두 전사했다고 전했다.
21세기에는 상상도 못했던 두 괴물의 정치적 야욕이 수많은 젊은이들을 총알받이로 내몰고 있다. 이 전쟁에서 얼마나 많은 북한의 청년들이 낯선 땅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갈까? 또 얼마나 많은 북한군들이 쇠사슬을 끊고 자유를 찾아 군영을 탈출할까? 60년 전 한 남한 젊은이의 호소가 메아리가 되어 북한 젊은이들의 피맺힌 절규로 확산하고 있다.
“나를 포함한 우리 인민군은 죽고 싶지 않다. 또 죄 없는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죽이고 싶지도 않다.”
남궁창성 미디어실장
#명경대 #베트남 #우크라이나 #사람들 #김진수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양민혁 결승골' 강원FC, 김천에 1-0 승… 선두 울산 1점차 추격
- 원주서 로또 1등 당첨...1143회 1등 11명 당첨금 각 25억5000만원
- BTS 제이홉 "군생활 동안 원주시민들께 감동 감사"
- “월 200 받고 못 산다” 공무원 등지는 2030
- ‘빵지순례’ 열풍 출혈경쟁 부메랑
- '아동학대 혐의' 손웅정 감독 등 벌금 300만원 약식명령
- 주한미군 최초 한국계 사령관 되어 돌아온 춘천 소년
- ‘응급실 난동’ 현직 여경, 1계급 강등처분 중징계
- ‘청탁금지법 위반·성추행 혐의’ 김진하 군수 사무실 압수수색
- '의아한 형제들' 된 배민… "점주가 음식값 할인해야 수수료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