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尹, 국회 시정연설 하는 게 맞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월 4일로 예정된 2025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施政) 연설을 직접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한다.
1987년 개헌으로 도입된 시정 연설은 국회의 새해 예산안 심의에 앞서 대통령이 직접 정부의 예산안 내용을 설명하며 국회의 협조를 구하는 자리다.
올해 못잖게 여야 다툼이 극심했던 작년에도 여야는 신사협정을 맺어 본회의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연설 후에는 대통령과 국회의장, 여야 원내대표가 오찬까지 함께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87년 개헌으로 도입된 시정 연설은 국회의 새해 예산안 심의에 앞서 대통령이 직접 정부의 예산안 내용을 설명하며 국회의 협조를 구하는 자리다. 임기 첫해만 대통령이 할 때도 있었지만 박근혜 정부 이후 대통령이 직접 매년 국회를 찾는 관행이 정착됐고, 윤 대통령도 작년과 재작년 두 차례 연속 국회를 찾았다.
대통령실 주변에선 시정 연설 불참 가능성의 이유로 야당의 피켓시위나 탄핵 구호 가능성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이를 대통령의 국회 연설 관행을 건너뛰는 구실로 삼아선 곤란하다. 올해 못잖게 여야 다툼이 극심했던 작년에도 여야는 신사협정을 맺어 본회의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연설 후에는 대통령과 국회의장, 여야 원내대표가 오찬까지 함께 했다.
내년 한 해 국정과 예산안 설명만으로도 대통령이 국민에게 직접 보고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게다가 지금은 북-러 군사협력, 의료대란 등 중대 현안이 여럿 있다. 이에 대한 정부 입장을 설명하고, 반대 여론이 있다면 진솔하게 설득하는 게 대통령의 책무다. 국민들도 국정 현안에 대한 대통령 생각을 직접 들을 권리가 있다.
윤 대통령은 9월 초 22대 국회의 개원식에도 불참했는데, 대통령의 개원식 불참은 87년 체제에서 초유의 일이었다. 당시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은 “국회가 정상화하기 전에는 가시라 못 한다”고 해명했다가 논란을 빚었다. 국회가 달라져야 하지만, 대통령은 어떤 상황이든 국회 협조를 구하고 소통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야당도 국가원수 모독 행위를 자제하는 등 예의를 지켜야 한다. 대통령이 국회를 찾고,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를 만나고, 국민에게 손을 건네는 일은 어느 정권이든 지속돼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北, ICBM 고각 발사 추정…한미 ‘파병’ 규탄 직후 도발
- [단독]2개의 ‘레드라인’ 동시에 넘는 北… 韓, 우크라 포탄 ‘우회지원’ 준비
- “북한군 이미 우크라 영토 진입” 거론에… 바이든 “타격 대상”
- 체코 반독점 당국, ‘韓 원전 계약’ 일시 보류
- “연금만으론 생활 빠듯”… 일하는 어르신 68%가 임시-일용직
- 9월 생산 0.3%, 소비 0.4% 동반 감소…투자는 8.4%↑
- “마약이 왜 불법이죠?” 판사에게 따진 20대, 집행유예
- 택배기사서 선장으로 인생 2막 “귀어학교서 ‘바다’를 배웠죠”
- [알립니다]2025 東亞신춘문예 주인공을 찾습니다
- 통증관리 OX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