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장례 형식적 절차 갖췄지만 진정한 애도·존엄성 하세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반빈곤센터가 공영장례 제도 개선과 지역 운동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부산반빈곤센터는 지난 28일 오후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공영장례 운동의 미래라는 주제로 제도개선과 지역운동 강화 방안을 찾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부산반빈곤센터는 2016년 공동체 장례식을 시작으로 토론회와 지역사회 활동을 통해 16개 구·군 공영장례 지원 조례 마련의 기틀을 닦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반빈곤센터가 공영장례 제도 개선과 지역 운동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열었다.
부산반빈곤센터는 지난 28일 오후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공영장례 운동의 미래라는 주제로 제도개선과 지역운동 강화 방안을 찾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부산반빈곤센터는 2016년 공동체 장례식을 시작으로 토론회와 지역사회 활동을 통해 16개 구·군 공영장례 지원 조례 마련의 기틀을 닦았다. 현재 공영장례 조문단 교육 및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 8년간 활동으로 형식적 절차는 마련됐지만, 진정한 애도와 배웅이라는 공영장례의 취지를 살리는 것은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재 16개 구·군은 공영장례 일정을 홈페이지 공고 형태로 알려 공영조문단과 고인이 생전 교류하던 이웃이 부고 소식을 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사회복지연대 맹정은 집행위원(공영장례조문단장)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공영장례 동의를 사전에 받고 부고를 보낼 연락처를 미리 받아 사후 부고까지 보내는 시스템을 구축해 존엄한 삶의 마무리와 애도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 관내 장례식장의 장애인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내 장례식장 52곳(전체 54곳 중 조사 거부 2곳 제외)을 조사한 결과 27곳(50%)이 도시철도와 500m 이상 떨어진 곳에 있었다. 37곳(70%)이 건물 입구에 경사로가 없고 그중 21곳(40%)이 임시 경사로조차 갖추지 않았다. 장애인 화장실의 경우 25곳(48%)가 갖췄으나 이마저도 32곳(61%)이 휠체어 이용자가 못 들어갈 정도로 좁거나 창고로 쓰이고 있었다. 삶장애인자립생활센터 정성규 권익옹호팀장은 “공영장례에 참석했다가 입구의 턱 때문에 참석 못 할 뻔한 경험이 있다”며 “조문과 애도의 권리조차 모두에게 열린 것이 아니라는 현실이 속상했다. 시민 모두가 조문할 수 있는 환경이 관내 장례식장에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공영장례가 궁극적으로 지역운동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영화숙재생원피해생존자협의회 손석주 대표는 “국가폭력으로 사람 대접 못 받고 살던 피해자 형님들의 마지막 가는 길도 존엄하지 못한 죽음으로 끝나 참담했다. 공영장례 제도를 통해 존엄한 죽음과 애도할 권리를 보장받았다. 공영장례 존재 자체를 모르는 이에게 배웅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야 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부산반빈곤센터 임기헌 활동가는 “상품화된 장례 문화 속에서 취약계층의 죽음은 존엄을 빼앗겼다. 누구나 존엄하게 죽어야 한다는 공영장례에서 출발해 궁극적으로 인간 삶 전체의 존엄을 회복하는 사회운동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