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주 없는 증시, ‘경영권 분쟁’이 테마주로… 급등락 주의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영권 분쟁' 이슈에 휘말린 기업들의 주가가 연일 널뛰기하면서 국내 증시에 투자주의보가 내려졌다.
올해 하반기(7∼12월) 국내 증시 최대 이슈인 고려아연은 경영권 분쟁 여파로 회사 주가가 100만 원을 뚫으면서 경영권 분쟁 테마를 이끌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본질 가치를 벗어낸 주가 급등세는 분쟁 등이 종료된 이후 원래 자리로 돌아가게 돼 있다"며 "경영권 분쟁 구도를 명확하게 알지 못한 상황에서 투자에 나서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미사이언스-티웨이항공도 요동
“갈등 마무리땐 주가 하락 이어져
개인들 성급한 투자는 위험”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고려아연의 주가는 전일 대비 3.83% 오른 130만1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풍과 MBK가 공개매수를 시작하기 전 주가(55만6000원) 대비 133.99%가량 뛰었다. 공개 매수 기간 80만 원대를 유지하다 양측의 공개매수가 끝나고 오히려 주가가 급등했다. 양측의 경영권 분쟁이 길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면서다.
올해 초 한미약품그룹의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부회장 모녀와 임종윤 이사와 임종훈 대표 간 갈등을 겪었던 한미사이언스도 주가가 요동치고 있다. 18일 10.15% 급등한 뒤 사흘 연속 내림세를 걷다가 24일엔 19.54% 올랐다. 이날 한미사이언스는 전일 대비 6.27% 내린 3만81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티웨이항공도 최대 주주인 예림당과 2대 주주인 대명노소그룹 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주가 등락 폭이 커졌다.
투자 전문가들은 최근 경영권 분쟁 관련 종목의 주가가 과열 양상을 보인다면서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영권 분쟁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지만, 분쟁 종료 이후 주가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카카오와 하이브 간 맞공개매수가 진행됐던 SM엔터테인먼트의 경우 한때 주가가 16만 원대까지 급등했으나 최근엔 7만 원 선이다. 에프앤가이드도 지난달 경영권 분쟁으로 주가가 3만8000원대까지 올랐으나 한 달도 안 돼 1만 원 초반으로 추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본질 가치를 벗어낸 주가 급등세는 분쟁 등이 종료된 이후 원래 자리로 돌아가게 돼 있다”며 “경영권 분쟁 구도를 명확하게 알지 못한 상황에서 투자에 나서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상황에 따라서는 본래 기업가치보다 주가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영권 분쟁의 경우 공격과 방어를 위해서 자금이나 인력 등을 끌어다 쓰다 보니 비용이 발생한다”며 “분쟁이 마무리되더라도 지나치게 많은 돈을 썼을 경우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증권업계에서는 국내 증시를 이끄는 대형주가 사라지면서 테마주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차전지 랠리가 끝난 뒤 ‘초전도체’ ‘총선주’ 등 특정 섹터에 자금이 몰린다”며 “테마 열기가 식은 뒤 주가가 이전보다 더 빠지는 등 투자자 손실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野 ‘김건희 상설특검’ 본격화…“내달 본회의 처리”
- “韓대표단, 北 러시아 파병 대응 위해 우크라 방문 예정”
- 올라오면 우승, 올해도 그랬다… KIA, 한국시리즈 V12
- [단독]배달 30% 늘때 수수료 3배 급증…“배달 영업 포기” 자영업자 속출
- [사설]비자금 파문-민생 실패로 12년 만에 막내린 日 자민당 독주
- [사설]세수 구멍 메우려 ‘외환 방파제’ ‘주거 복지 재원’까지 손 대나
- [사설]‘高물가 수렁’ 지나니 ‘高환율 복병’
- ‘1억원 요구’ 논란에 의료계 내분 격화…임현택 의협회장 탄핵 위기
- 갑자기 아플 땐 대형병원으로? 병명 모를 땐 동네 응급실 찾으세요 [우리 동네 응급실]
- 통증관리 OX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