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욱의 과학 오디세이] [67] 재난 공동체
1983년 뉴욕을 떠나 알래스카의 앵커리지를 거쳐 서울로 오던 KAL 007기가 소련 사할린 영공에서 격추되어 승무원과 승객이 전원 사망한 참사가 있었다. 이 사건은 전 세계인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고, 미국 정부는 군용 비행기에서만 사용하던 GPS를 민간 비행기에 개방했다. 이후 비행기 위치가 어디인지 쉽게 알 수 있었고, 이런 참사는 피할 수 있었다. 비행기 여행은 조금 더 안전해졌다.
1994년에 성수대교가 무너져 등교하던 학생들을 포함해서 32명이 사망했다. 이 참사 이후 1995년에 ‘시설물 안전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이에 근거해서 시설안전기술공단이 설립되어 국가 주요 시설물과 기반 시설의 안전 확보를 위해 연구와 조사를 담당하기 시작했다. 1995년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로 100명이 넘는 사망자가 생겼고, 이후 도로를 팔 때 반드시 가스 회사와 사전 협의를 하는 절차가 의무화되었다.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뒤에 전국 고층 건물과 시설에 대한 안전 평가가 실시되고, 위험하다고 평가된 당산철교가 철거 후 다시 지어졌으며, 관련 법령도 더 엄격하게 개정되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에 객차 내장재는 모두 불연 소재로 바뀌었고, 비상 인터폰과 CCTV도 확대되었으며, 2·18안전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 이후에 화학물질의 수입·제조 업체에 대해 유해성 심사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재난 생존자와 유가족은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더 위험과 재난에 민감해지며, 재난을 대비하는 여러 조치와 제도를 만드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한다. 위에서 언급한 법령 개정, 안전 재단 설립에도 희생자들의 피와 유가족의 눈물 나는 노력이 있었다. 우리가 지금 조금 더 안전한 세상에서 살고 있다면 그것은 재난 생존자와 유가족의 힘든 싸움이 열매를 맺었기 때문일 것이다. 재난 희생자들의 죽음은 나의 삶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모두 ‘재난 공동체’이다. 오늘 이태원 참사 2주기를 맞아 재난 공동체의 의미를 곱씹어 본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올해 1~10월 발생한 전세보증사고 규모 4조원 넘어서
- NBA 선수 경험도 못했던 클리블랜드 앳킨슨 감독, 개막 14연승 이끌어
- 北, 열흘 연속으로 GPS 신호 교란… 무인기 대응 훈련하는 듯
- 59년 지나도 밝혀지지 않은 진실...말콤X 유족 1400억원 소송
- 사유리처럼... 20대 43% “결혼 안해도 아이는 낳을 수 있다”
- ‘아웅산 테러’ 마지막 생존자, 최재욱 전 환경부 장관 별세
- 법원 “택시조합 기사 실업급여 반환 처분은 과해”
- "엔저 효과" 올해 韓-日 항공편 이용객 역대 최다 기록
- “경매장 생선 회뜨기 금지 안된다“…공정위, 노량진시장 상우회에 경고
- ‘수렴청정’ 박단, 의협 비대위 합류하나... 15명 중 3명 전공의 채우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