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우크라전 발발 후 러시아에 8조원 상당 무기 전달”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lee.sanghyun@mkinternet.com) 2024. 10. 28. 2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북한이 러시아에 전달한 무기의 규모가 최대 8조원 상당이라는 독일 싱크탱크의 추산이 나왔다.

28일(현지시간) DPA 통신에 따르면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은 이날 발간한 보고서 '푸틴의 파트너'에서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뒤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한 무기 규모가 17억~55억 달러(약 2조4000억~7조6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략미사일기지를 시찰하고 발사 관련 시설 요소별 기능과 능력, 전략 미사일 전투직일 근무(당직 근무) 상태 등 나라의 안전과 직결된 전략적 억제력의 가동 준비 태세를 점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북한이 러시아에 전달한 무기의 규모가 최대 8조원 상당이라는 독일 싱크탱크의 추산이 나왔다.

28일(현지시간) DPA 통신에 따르면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은 이날 발간한 보고서 ‘푸틴의 파트너’에서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뒤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한 무기 규모가 17억~55억 달러(약 2조4000억~7조60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에서 강의하는 올레나 구세이노바가 집필한 것으로, 각종 정보 보고서와 유출된 문서, 북한의 과거 무기 거래에서의 탄약 가격 등을 토대로 추정치를 집계했다.

DPA는 북한이 무기 수출에 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추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전제했다. 다만 한국의 정보기관에 따르면 북한은 주로 포탄과 단거리 미사일을 러시아군에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러시아에 파견될 수 있는 북한의 병력을 최대 2만명으로 추정했다.

보고서는 “보수적인 계산에 따르더라도, 김정은이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5000~2만명의 인력을 투입할 경우 잠재적으로 1억4300만~5억7200만 달러(약 1979억~7917억원)의 추가 연 수입을 축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금전적인 이익을 제외하고도, (북한) 정권은 현대전을 연구하기 위한 실제 전투 경험을 얻는 것과 서방의 무기에 대한 접근을 확보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관심을 두고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독립 언론기관이라고 주장하는 ‘아스트라’는 지난 22일(현지시간) 텔레그램 채널에 북한군으로 보이는 군인들이 건물 외부에 서 있는 모습을 촬영해 게시했다. [사진 출처 = 아스트라(ASTRA) 텔레그램, 연합뉴스]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강화하면서 양국 사이의 공식 무역량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양국의 거래량은 5290만 달러(약 732억원)로, 지난해 전체 거래량(3440만 달러·약 476억원)을 이미 크게 상회했다.

보고서는 이같은 추세로 미뤄볼 때 양국의 연간 무역량이 2017년 유엔 제재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양국의 외교도 활성화하면서 지난해 7월 이후, 한 달에 평균 2회꼴로 양국의 공식 고위급 회의가 열린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만 보면 이같은 회의는 약 20회 개최됐다. 지난 30년간에는 연간 5회 개최가 통상의 관례였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구세이노바는 러시아가 북한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는 대량의 탄약이 필요하기 때문이지만, 또 다른 포석도 있다고 짚었다.

그는 “러시아는 특히 동아시아에서 서구 동맹의 결속력을 시험하기 위한 도구로 북한과의 관계와 잠재적인 군사 기술 이전을 이용하고 있다”며 “러시아는 한국과 일본과 같은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재고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북한이 여전히 예측할 수 없는 파트너라는 점, 또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할 경우 러시아와 중국과의 관계를 긴장시킬 위험이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러시아의 전략에는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