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개원연설 이어 시정연설도 패싱할 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2025년도 '시정연설'을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은 현재의 국회 상황과 시정연설을 이틀 앞두고 야당이 '김건희 국정농단 범국민 규탄대회'를 기획하는 것 등을 이유로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1948년 9월30일 '대통령 시정방침연설'을 한 것이 시정연설의 시초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尹 “4대 개혁이 곧 민생… 박차 가하라”
임기 반환점 회견도 11월 말로 검토 중
윤석열 대통령의 2025년도 ‘시정연설’을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월 국회 개원연설에 이어 두 번 연속 국회 연설을 건너뛰는 것이 돼 논란이 예상된다.
이후 예산안 제출에 즈음한 시정연설은 주로 국무총리의 대독으로 진행됐다. 1979년에는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이, 1990년과 2002년에는 이승윤 당시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대독한 사례도 있다.
1988년 10월4일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예산안 제출에 즈음한 국정연설’이 현재의 시정연설과 유사하다. 이후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은 시정연설을 하지 않았고,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이 각각 한 차례, 박근혜 전 대통령 4차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추경을 포함해 총 6차례 직접 시정연설을 하며 관행처럼 굳어졌다. 윤 대통령도 취임 첫해 추경과 2023년도 예산안, 지난해 10월 2024년 예산안에 관한 시정연설을 했다는 점에서 올해 불참 검토는 이례적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4대 개혁 추진이 곧 민생”이라며 “연금·의료·교육·노동 4대 개혁 추진에 박차를 가하라”고 비서실과 내각에 당부했다. 또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다. 연내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속도를 내달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최근 대통령실 일부 행정관들이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에 반발해 집단적으로 목소리를 내려고 한 것과 관련해, “절제와 품격을 갖춰 움직일 필요가 있다”며 자제하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내달 10일 임기 반환점을 계기로 기자회견이나 국민소통 행사 등을 고민해오다 최근 여당 내 분란과 여야 간 극한대치 등 정국 상황을 감안해 시점을 11월 말에 무게를 두고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년 반의 국정 성과에 관해 설명하고, 향후 국정운영 방향을 밝히는 방안에 대해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박정민, 시력 잃은 父 위해 ‘오디오북’ 제작 “난 장애인의 아들이야”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봉원, 사업 실패 → 7억 사채 빚...‘♥박미선’에게 이혼 당하지 않은 비법
- 불륜 스토리에 ‘미친X’ 분노...강다니엘, 녹화 도중에 욕설 → 사과
- “이러다 제주도 망한다”…한국인, ‘이곳’으로 몰려간 이유
- ‘탈모 논란’에 3,571모 심은 썸머퀸 “흑채 썼는데 물에 다 씻겨 나가”
- “진짜 오은영 맞아?”...바뀐 헤어스타일 ‘눈길’ → 민낯까지 최초 공개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