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가슴이나 목 아프면…절반이 심근경색 조기증상 모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겨울철을 앞두고 뇌졸중·심근경색증 위험에 대비해 각별한 건강관리가 요구된다.
그러나 2023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뇌졸중 및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각 62.0%와 52.9%로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율은 저조한 편이다.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고령자, 만성질환자, 과거 병력이 있는 고위험군은 겨울철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악화 위험에 대비해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겨울철을 앞두고 뇌졸중·심근경색증 위험에 대비해 각별한 건강관리가 요구된다. 발생 시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기증상을 알아둘 필요도 있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은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질환이다. 생존한 경우에도 심각한 장애를 동반하는 등 신체적·경제적 부담이 큰 경우가 많다.
그러나 2023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뇌졸중 및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각 62.0%와 52.9%로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율은 저조한 편이다.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고 예후가 좋으려면 질환의 조기증상을 사전에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일상생활 시 한쪽 팔다리 마비, 갑작스러운 언어 및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이 나타나면 뇌졸중을 의심해야 한다.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이나 압박감, 턱, 목 또는 등에 심한 통증이나 답답함 등은 심근경색증의 조기증상이다.
고령자, 만성질환자, 과거 병력이 있는 고위험군은 겨울철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악화 위험에 대비해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날씨가 추운 경우 실외활동 및 장시간 외출을 자제하고 보온을 유지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특히 고령자, 고혈압·당뇨병 환자 등 기저질환자, 과거 병력이 있는 고위험군은 한파 시 외출 자제 등 겨울철 건강관리에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ami@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준호, 1.5평 감옥서 고해성사…김지민 母 분노
- 이하늬, 60억 세금 탈루설 파장…"고의적 누락 아냐"
- 서유리, 故김새론 애도했다가 악플 받아…왜?
- 이수근, '신장투석 10년째' 아내 근황 공개…"밝아지려고 노력"
- 권상우, 10년前 산 성수동 건물 철거…"새건물로 차익 350억"
- '47세' 하지원, 동안미모 비결 "15년 동안 꾸준히 ○○ 섭취"
- "낭떠러지서 등 밀어" "잔소리만 해서 미안"…김새론 추모 '계속'
- '전현무와 열애설' 홍주연 "결혼 언제 할 거야" 선배 잔소리에…
- '유퀴즈' 정신과 교수 "재기 기회 없이 사람 매장시키는 사회"
- 김원훈, 우울증 고백…"2년간 월수익 2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