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태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詩] [42] 감을 따 내리며

문태준 시인 2024. 10. 28. 00: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이철원

감을 따 내리며

저렇게 푸른 하늘이 어디에다 가마 걸고

이렇게 붉은 열매를 주저리로 구워 내렸나

아흔 해 이 땅에 살아도 가마터를 나는 몰라.

-정완영(1919-2016)

가을 하늘이 푸르다고 이른 까닭은 그만큼 날씨가 맑고 밝기 때문일 테다. 시인은 다른 시에서는 “하루 한 길씩을 높아가는 가을하늘”이라고도 썼다. 감나무에 매달린 감을 따 내리면서 시인은 감의 잘 익은 빛깔에 감탄하며 마치 숯이나 도자기처럼 가마에 넣어 구워 낸 것만 같다고 노래한다. 불을 땔 때의 붉은 빛과 열기가 잘 익은 감의 빛깔과 서로 어울려 멋스러운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세상의 모든 열매를 구워 내는 어마어마한 가마터가 정말이지 어딘가에 있는 것일까. 나이가 들어서도 가마터를 모른다고 한 것은 우주생명의 살아 움직이는, 신묘한 힘과 변화에 대한 경외의 마음을 드러낸 것이면서 한편으로는 겸사(謙辭)라고 하겠다.

이 시를 읽으니 고향집에서 감을 따던 일이 생각난다. 장대 끝을 벌려 그 틈에 감나무 가지를 끼운 후에 살짝 돌려 꺾어서 땄었다. 감나무 꼭대기의 감은 까치밥으로 남겨 두는 것도 잊지 않았다. 정완영 시인은 고향을 소재로 여러 시편을 남겼다. 가령 “고향을 찾아가니 고향은 거기 없고//고향에서 돌아오니 고향은 거기 있고//흑염소 울음소리만 내가 몰고 왔네요”라고 썼다. 선량함과 기지에서 태어난 가편(佳篇)일 테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