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실의 서가] 지친 시대에 영혼을 깨웠던 `참사람`

박영서 2024. 10. 27. 18: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첨단 과학기술로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극대화하자는 사람들이 있다.

그렇다면 이를 통해 인간은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의 숭고함을 보고, 무능을 통해 상호 의존과 공생의 방식으로 생명 살림을 이루며, 무지함을 통해 인간 언어와 인식 너머에 있는 신비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인간 그리고 인간의 영성에 천착한 류영모의 사유를 오늘의 관점으로 접할 수 있는 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류영모 안규식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첨단 과학기술로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극대화하자는 사람들이 있다. 그렇다면 이를 통해 인간은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 다석(多夕) 류영모(柳永模, 1890∼1981)는 인간의 자기 초월은 '자기 긍정'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 부정'을 바탕으로 삼을 때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의 숭고함을 보고, 무능을 통해 상호 의존과 공생의 방식으로 생명 살림을 이루며, 무지함을 통해 인간 언어와 인식 너머에 있는 신비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류영모는 기독교 사상가이자 '서양 문명과 문화의 골수를 동쪽의 문명과 문화의 뼈에 집어넣은' 동서 회통의 철학자였다. 그는 35년간 YMCA 연경반(硏經班) 모임에서 경전을 가르치고 '성서조선'과 같은 잡지에 글을 기고한 애국계몽 운동가이기도 했다. 순우리말로 '노자'와 '중용'을 완역했으며, 1955년부터 1974년까지 20년 동안 직접 기록한 일기와 여러 잡지에 기고한 글들을 모은 '다석일지'를 남겼다. 류영모는 평생 은둔하며 살았지만, 그의 가르침을 받은 많은 인물들이 그의 사상을 발전시키고 널리 알렸다. 류영모의 제자 중 대표적 인물로는 함석헌이 있다.

류영모가 숨을 거두며 마지막으로 한 말은 '아, 바, 디'였다. '아'는 감탄사, '바'는 밝다는 빛의 구현, '디'는 디딘다는 실천적 삶을 뜻했다. 그의 삶에서 나온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 그가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책은 '인간' 자체가 문제가 된 시대인 지금의 인류세에 류영모 철학을 다시금 돌아본다. 류영모의 인간관을 반영하는 '어둠과 비움의 자기-초월적 인간학'부터, 류영모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하나'와 '생각' 그리고 '고디', 류영모가 동서양 사상을 융합해 창조한 종교 담론, 류영모 고유의 용어인 '정음' '씨알' '빈탕' 등을 살펴본다. 인간 그리고 인간의 영성에 천착한 류영모의 사유를 오늘의 관점으로 접할 수 있는 책이다.

박영서 논설위원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