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사치일 뿐, 사는 것도 힘든 세상…‘결혼, 하겠나?’[영화잡설]

김기중 2024. 10. 26. 15: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결혼, 하겠나?’ 스틸컷. 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제공

선우는 오래 사귀었던 우정과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마침 시간강사 생활도 끝날 조짐이 보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선우의 아버지가 뇌출혈로 쓰러집니다. 치료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선우는 돈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그런데, 이거 참 녹록치가 않네요.

23일 개봉한 영화 ‘결혼, 하겠나?’는 제목만 보면 결혼을 소재로 한 연애영화처럼 느껴질 법합니다. 그러나 영화는 제목을 살짝 비켜 결혼을 앞둔 우리 시대 청년의 삶에 초점을 맞춥니다. 결혼보다 돈과 가족 문제, 팍팍한 사회, 그리고 인간으로서 도덕성에 관한 이야기까지 닿습니다.

선우는 완고한 아버지 아래에서 자랐지만, 무슨 일이든 능청스럽게 넘길 수 있는 유쾌한 성격의 청년입니다. 우정(한지은 분)의 어머니와 상견례 날, 어머니에게서 “아버지가 도착하지 않았다”고 연락받습니다. 병원에서 전화가 걸려 오더니 아버지가 뇌출혈로 쓰러져 응급실에 실려 갔다고 합니다.

치료비가 만만치 않습니다. 아버지가 기초생활수급자가 되면 이 재난 같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선우가 동사무소에 가서 신청해보니, 아버지의 주소가 불명이라 합니다. 선우는 이 과정에서 아버지의 과거를 알게 됩니다.

영화 ‘결혼, 하겠나?’ 스틸컷. 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제공

선우의 아버지인 철구(강신일 분)는 형의 빚을 잘못 떠안아 큰 손해를 입었습니다. 이 때문에 철구는 동생과도 크게 싸웠습니다. 철구의 동생은 철구의 주소를 어머니에게도, 자신에게도 올려놓지 못하게 했습니다. 빚이 인계될까 봐 취한 조치였습니다.

사실 이 빚 때문에 철구는 이혼까지 했습니다. 그래서 아내였던 미자(차미경 분)에게도 주소를 올릴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선우는 아버지의 주소를 등록해달라고 무릎까지 꿇어가며 작은아버지에게 매달립니다. 그러나 “가난은 전염병이다. 모질어야 살 수 있다”는 말을 듣게 됩니다. ‘아버지의 주소는 어디인가’ 같은 제목이 더 어울릴 법한 상황이네요.

이런 상황에서 결혼은 사치입니다. 선우가 놓인 상황 속에서 우정과의 결혼은 점차 멀어져 갑니다. 게다가 우정이 아르바이트하는 카페 사장은 우정에게 참 잘해줍니다. 우정의 마음도 흔들리게 됩니다. 선우는 아버지 때문에, 돈 때문에 가족도, 사랑도 잃어버릴 판입니다.

연출을 맡은 김진태 감독은 기자시사회에서 “미래를 꿈꾸는 청년 세대가 현실의 벽에 막혀 고민하는 모습, 어떻게 살아야 할지 힘들어하는 모습을 담고 싶었다”고 밝혔습니다. 부산 사상구 모라동을 배경으로 한 영화여서 애초 ‘모라동’ 이란 제목으로 지난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공개됐습니다. 그러나 정식 개봉에 맞춰 지금 제목으로 변경했다 합니다. 선우 역의 이동휘 배우가 제안한 제목이었다네요.

영화 ‘결혼, 하겠나?’ 스틸컷. 스튜디오 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제공

다시 선우의 이야기로 가볼까요. 선우의 고군분투는 결국 어머니인 미자가 뿌려놓은 작은 씨앗 덕분에 꽃을 피워냅니다. 모질어야 살아남는 세상에서 따뜻함이 희망이 된 셈입니다. 영화는 김 감독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출발했다 합니다. 김 감독은 “남에게 베푸는 게 인색한 시대, 청년들에게 현실은 차갑고 유리 천장도 존재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걸 깨고 싶지만 깨지 못하는 아이러니함을 담고 싶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영화와 현실은 다릅니다. 작은 씨앗이 언제나 좋은 결과를 내지는 못합니다. 저는 오히려 영화 속에서 한국의 복지 시스템의 허점을 더 주목해서 봤습니다. 그나마 중간에 웃음 요소를 적절히 넣었기에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더라면 굉장히 삭막한 영화가 됐을 겁니다.

물론, 이는 코믹 연기에 능숙한 이동휘 배우의 역할이 컸습니다. 이동휘의 조금은 다른 모습, 그러면서도 특유의 유쾌함을 엿볼 수가 있습니다. 이동휘는 “단순한 로맨스가 아닌 인생의 희로애락이 담긴 사람 냄새 나는 영화”라면서 “함께 울고 웃으며 공감하실 부분이 많을 거로 생각한다. 관객분들께 위로가 되는 영화가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습니다.

중간에 웃음 요소가 있으나 가족의 개인사를 너무 파고들어 재미가 반감되는 느낌이 듭니다. 이야기의 톤 자체가 어둡고요. 다소 예상한 대로 흘러가는 점도 조금 걸립니다. 이런 부분에서 호불호가 갈릴 듯합니다만, 팍팍한 사회를 잘 표현했다는 점에서 한 번은 곱씹어볼 만한 영화라는 생각이 듭니다.

김기중 기자의 ‘영화잡설’은 놓치면 안 될 영화, 혹은 놓쳐도 무방한 영화에 대한 잡스런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격주 토요일 독자들을 찾아갑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