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승원·유해진의 소박한 밥상에서 느껴지는 경건함의 실체('삼시세끼')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4. 10. 26. 13: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시세끼’, 이 단순한 소박함에 담긴 삶의 비의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이제 추자도를 떠나야 할 시간, 차승원과 유해진은 마지막 밥상을 차린다. 아침 일찍 손님으로 왔던 김남길을 마중해주고 뒤늦게 차린 아침 밥상은 소박하다. 전날 솥밥으로 먹고 남은 누룽지에 물을 부어 끓인 눌은밥과, 역시 전날 '피시앤칩스'에서 칩이 되지 못한 감자를 숭덩숭덩 썰어 끓인 된장찌개, 그리고 김남길이 가져온 달걀 남은 것에 양파와 파를 송송 쓸어 부쳐낸 달걀말이, 먹고 남은 열무김치다. 그리고 특별하게 된장찌개 안에는 아무 것도 잡히지 않는 투망에서 찾아낸 소라 몇 개가 들어갔다.

tvN 예능 <삼시세끼 light>가 보여주는 끼니의 풍경은 이처럼 한결같다. 물론 가끔은 바다에서 참치 같은 힘을 가진 부시리를 '노인과 바다'의 한 장면처럼 낚아와 포를 뜨고 감자까지 튀겨낸 호사스런 '피시앤칩스'가 한 상 차려지기도 하지만, 그런 호사스러움에서 느끼할 것 같다며 열무비빔밥을 '반찬'으로 더해넣는 촌스러운 맛을 잃지 않는다. 대단할 것 없는 끼니들이 하루 세 끼씩 채워지고 그게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을 만든다. 음식을 먹고 우리의 몸이 만들어지듯.

그런데 그 끼니의 풍경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단순한 밥상에서 차곡차곡 쌓여 있는 이야기들의 흔적들이 보인다. 눌은밥은 유해진이 낯선 오분도미로 연거푸 밥짓는데 실패한 후 추자도에서 비로소 성공시킨 밥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된장찌개에 들어간 감자에서는 전날 먹은 피시앤칩스와 그걸 가능하게 했던 바다낚시의 짜릿한 추억들이 연달아 낚아올려지고, 달걀말이에서는 추자도 형들 만나러 오던 김남길이 손에 잔뜩 들고 있던 계란 한 판이 떠오른다.

남은 걸 탈탈 털어 마지막 밥상에 올라온 열무김치는 차승원이 폭염 속에서도 오자마자 뚝딱 만들어냈던 광경과 피시앤칩스의 호사스러움이 주는 느끼함을 한 방에 날려버리는 열무비빔밥이 떠오른다. 된장찌개를 끓이는데 쓰인 장작불의 열을 모으기 위해 쓰인 이른바 '열모아'는 또 어떤가. 정선에서 김고은이 손님으로 왔을 때 유해진이 함께 쇠를 자르고 구부려 만들었던 그 광경이 떠오른다. 그렇게 만들어진 열모아 위에서는 또 얼마나 많은 음식들이 끓여지고 구워지고 했던가.

<삼시세끼>는 이처럼 하루 세 끼의 밥상의 정경을 통해 참 많은 것들을 이야기한다. 무심하게 만들어져 밥상 위에 올라온 것 같지만, 거기에는 유해진과 차승원 그리고 그곳을 찾은 손님들이 함께 해온 생활과 시간의 흔적들이 더해져 그 느낌이 새록새록 피어난다. 그러고 보면 <삼시세끼>라는 제목이 참 그럴 듯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만큼 단순하고 소박하게 우리의 삶을 표현하는 것이 있던가.

김훈은 에세이 '허송세월'에서 그가 사는 동네의 허름하고 싼 식당 이야기를 하면서 '밥이 아무리 싸고 남루해도 먹는다는 행위는 인간에게 경건한 것'이라고 했다. 밥과 노동의 순환을 이른바 '밥벌이'라는 한 단어로 묶어내 인간 삶의 비의를 꺼내놓은 이 작가는 모든 인간이 먹는 밥 한 끼에 담긴 숭고함을 읽어냈던 것일 게다.

<삼시세끼>는 유해진과 차승원의 평범한 세 끼의 풍경을 담는 것이지만, 그걸 위해 밭으로, 바다로 나가 재료를 구해오고 인간의 지혜가 누적된 요리라는 노동을 통해 맛난 밥상을 차려 즐겁게 먹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그것이 어쩌면 우리가 사는 삶의 본질이라는 걸 에둘러 말해준다. 유해진이 구해오는 식재료들이나 때론 보다 효율적으로 요리를 하기 위해 고안해 만들어내는 도구들에서도 본래 삶과 밀착되어 있던 문명의 본질 같은 게 보인다. 갈수록 고도화되면서 삶과 유리되어 삶을 소외시켜가는 도구들과는 사뭇 다른 진짜 본질이.

3박4일 간의 촬영이 끝나고 이제 추자도를 떠나는 시각, 영상은 괜스레 그들의 그간 생활이 묻어난 공간들을 편집해 담아놓는다. 새벽 운동을 마치고 나서 땀에 절은 옷을 빨아 '햇볕을 먹이던' 그 빨래들을 보여주고, 함께 투탁대면서 밥을 해먹었던 평상을 비춰준다. 또 매일 설거지를 하던 수돗가와 같이 깔깔 대며 TV를 보던 방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추억의 공간들이 이제는 하나하나 정리되어 비어가고 떠나는 차승원과 유해진을 담아낸다.

왁자했지만 결국은 하루 세 끼의 밥을 챙겨먹는 하루하루의 힘겨움과 즐거움의 시간들이 채곡채곡 채워져 하나의 삶을 이루는 건 아닐까. 그렇게 시간을 한참 보내다 하나하나 정리하고 떠나고 나면 그 빈 자리에 여전히 남아 있는 추억의 재잘거림들이 여운처럼 떠다니는 게 우리 삶의 본질이 아닐까. <삼시세끼>를 보다 보면 그 단순함에 담긴 삶의 비의가 엿보인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