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앞둔 인간 대한 예의… 계급에 갇힌 씁쓸한 현실

송은아 2024. 10. 22. 22: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베니스·칸 영화제 최고상 잇단 개봉
황금사자상 받은 ‘룸 넥스트 도어’
‘스페인 거장’이 만든 첫 영어 장편 작품
존엄사로 인간 연대·삶의 영속성 그려
틸다 스윈튼·줄리언 무어 명연기 펼쳐
섬세한 얼굴 변화 등 잡아낸 연출 눈길
황금종려상 받은 ‘아노라’
성노동자·재벌 2세 결혼 다룬 소동극
전반부 현대판 신데렐라 서사로 출발
결혼 반대하는 부모 등장 뒤 방향 틀어
환상 아닌 계급관계 등 현실 세계 그려
올해 칸과 베니스에서 최고상을 거머쥔 영화 두 편이 잇따라 개봉한다. 제77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션 베이커 감독의 ‘아노라’는 내달 6일 국내 관객과 만난다. 이 작품은 미국 성노동자와 러시아 철부지 재벌2세의 결혼을 둘러싼 소동극을 강렬한 에너지로 담았다. 제81회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은 ‘룸 넥스트 도어’는 23일 극장에 걸린다. 스페인 거장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첫 영어 장편 영화로 틸다 스윈튼과 줄리언 무어의 연기 향연이 펼쳐진다. 올해 ‘존 오브 인터레스트’(20만명) ‘가여운 것들’(15만명) ‘추락의 해부’(10만명) 등 영화제에서 호평받은 예술영화들이 좋은 성적을 거둬,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룸 넥스트 도어’
◆산 자와 죽은 자 위로 내리는 눈

‘룸 넥스트 도어’는 존엄사를 통해 인간의 연대, 삶의 영속성과 아름다움을 돌아보게 한다. 종군기자였던 마사(틸다 스윈튼)는 암에 걸리자 옛 동료이자 작가인 잉그리드(줄리언 무어)에게 연락한다. 마사는 “내가 날 먼저 죽이면 암이 날 죽일 수 없다”며 비참한 말로를 거부한다. 그러면서 잉그리드에게 자신이 스스로 죽음을 택할 때 옆 방에 있어 달라 부탁한다. 영화에서는 아일랜드 작가 제임스 조이스의 단편 ‘죽은 사람들’ 마지막 문장을 두어 번 읊조린다. “눈이 부드럽게 살포시 전 우주에, 마지막 종말을 향해 하강하듯이, 모든 산 자들과 죽은 자들 위에 내려앉는다.”

죽음을 떠올릴 때 비가 내리면 구슬프지만, 눈은 위로와 영원한 안식을 연상시킨다. ‘룸 넥스트 도어’가 죽음을 다루는 방식도 이렇다. 죽음이라는 삶의 변곡점을 둘러싸고 앞으로도 찬란할 세상, 산 자와 죽은 자가 겹쳐지며 이어지는 인생들, 예술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카메라는 연신 햇빛과 나무, 도시 풍경, 각종 예술작품을 비춘다. 그만큼 보는 즐거움이 있다.

두 배우의 명연기는 말할 것도 없다. 영화는 이들의 얼굴에 렌즈를 바짝 들이대고 섬세한 변화를 잡아낸다. 암투병 중인 마사가 푸른 계열, 마음이 따뜻한 잉그리드가 붉은 계열 옷과 액세서리를 착용하다가 이들의 내면이 달라지면서 서서히 색이 섞이는 모습도 흥미롭다.

알모도바르 감독은 존엄사를 통해, 한 인간을 생의 저편으로 보낼 때의 예의와 연대를 말한다. 마사는 홀로 세상을 등질 수 있음에도, 마지막 순간 방문 하나만큼 거리에 온기를 가진 누군가가 있기를 바란다. 잉그리드와 가까이 지내온 것도 아니고 자신의 사후 경찰조사라는 번거로움이 있을 것도 알지만 일종의 권리처럼 ‘옆방 지기’가 돼달라 고집한다.
‘아노라’
◆주변부 성노동자… 넘을 수 없는 벽

‘아노라’는 성노동자와 재벌2세의 충동적인 결혼을 다룬 블랙코미디다. 영화는 시끌벅적하게 시작해 엄청난 에너지를 폭발시키다 서서히 소리를 지우고 끝내 고요한 쓴맛으로 끝맺는다.

‘아노라’는 현대판 신데렐라 이야기로 출발한다. 23살 뉴욕 스트리퍼 아노라(미키 매디슨)는 손님으로 온 러시아 재벌 2세 이반(마크 아이델슈테인)을 만난다. 일주일 독점계약을 맺게 된 이들은 라스베이거스에서 환락을 만끽하다 흥에 겨워 결혼하고 만다. 아노라가 엄청난 부를 누리는 것도 잠시, 러시아에 있는 재벌 부모는 불같이 화내며 하수인 3인방에게 이들의 혼인을 무효로 만들라고 지시한다.

‘아노라’의 전반부는 성과 파티가 넘친다. 붕 뜬 일상은 화려하고 자극적이다. 이들의 결혼에 부모가 제동을 걸면서 영화는 코미디와 소동극으로 방향을 튼다. 개성 없는 성노동자 무리 중 한 명 같던 아노라의 진가는 이때부터 드러난다. 부당한 폭력에 화내고, 힘껏 소리 지르며 저항하는 아노라의 에너지가 영화를 지배한다. 재벌가의 민낯이 드러날수록 밑바닥 계급인 아노라는 인간으로서 품위가 드러난다.

그러나 영화는 환상을 주진 않는다. 아무리 재벌가 자제가 나사 빠진 철부지이고 아노라가 인간으로서 격이 있어도, 돈과 권력은 그 자체로 타인을 모욕할 힘이 있다. 성노동을 둘러싼 계급관계 역시 마찬가지다. 아노라가 위안을 얻기 위해서든, 타인의 성을 지배하기 위해서든 성관계를 주도해봐도 모욕당했다는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 영화는 여운과 함께 씁쓸한 현실로 문을 닫는다. 베이커 감독은 올해 5월 칸 영화제 수상 소감에서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성노동자에게 이 상을 바친다”고 말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