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워하고 나왔더니 빤히 쳐다보네”...께름칙했던 중국산 로봇청소기에 ‘경악’

방영덕 매경닷컴 기자(byd@mk.co.kr) 2024. 10. 21. 11: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서도 많이 팔린 중국 에코백스의 로봇청소기가 미국에서 해킹을 당해 보안 관련 취약점을 드러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제조된 에코백스의 로봇청소기 '디봇 X2' 이용자들은 최근 미국에서 청소기를 이용하는 도중 'f--k'와 같은 욕설과 인종차별적인 발언이 반복적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들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 픽사베이]
국내에서도 많이 팔린 중국 에코백스의 로봇청소기가 미국에서 해킹을 당해 보안 관련 취약점을 드러냈다.

집안을 청소하는 도중 갖은 욕설과 성적인 발언을 쏟아내거나 반려견을 쫓아가 공격하는 듯한 행동을 보여 이용자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제조된 에코백스의 로봇청소기 ‘디봇 X2’ 이용자들은 최근 미국에서 청소기를 이용하는 도중 ‘f--k’와 같은 욕설과 인종차별적인 발언이 반복적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들었다.

이같은 경험담은 지난 17일 뉴욕포스트 등을 통해 보도되며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미네소타 주에서 해당 로봇청소기를 사용 중이던 변호사 다니웰 스웬스씨는 로봇청소기에서 처음에는 고장난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듯한 소리를 들었다고 했다. 그러다가 로봇청소기를 연동한 애플리케이션과 리모컨, 카메라 등이 갑자기 오작동을 일으켰다.

스웬슨씨가 로봇청소기와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살펴본 결과 라이브 카메라 피드와 원격 제어 기능 등이 해킹당한 흔적이 발견됐고, 급히 비밀번호를 바꾸었다.

미국에서 해킹 피해 사례가 접수된 에코백스의 로봇청소기 ‘디봇 x2’. [사진출처 = 뉴욕포스트[
그는 “비밀번호를 재설정했는데 그 때부터는 청소기에서 ‘f--k’ 등 욕설과 성적이거나 인종차별적인 욕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로봇청소기가 마음대로 집안을 휘젓고 다니는 한편, 10대 자녀가 알몸으로 샤워를 하던 화장실 앞에 빤히 (로봇청소기가) 쳐다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을 때 정말 공포영화나 다름없었다고 덧붙였다.

미네소타에서 뿐 아니라 텍사스와 로스앤젤레스에서도 이같은 사례가 접수됐다. 에코백스의 로봇청소기를 사용하는 가정집에서는 가족과 반려견을 로봇청소기가 쫓아다니며 위협을 가했다고도 했다.

뉴욕포스트는 얼마나 많은 중국산 로봇청소기 제품이 해킹을 당했고, 해커가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앞서 美 IT매체 테크크런치는 에코백스의 로봇 제품이 해킹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한 바 있다.

해당 매체는 지난 8월 “악성 해커들이 에코백스가 만든 진공청소기와 잔디 깎는 기계 로봇의 통제권을 확보해 해당 기기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해 소유자를 염탐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경고했다.

이어 “에코백스 제품을 분석한 결과, 블루투스를 통해 로봇을 해킹하고 원격으로 마이크와 카메라를 은밀하게 켜는 데 악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발견했다”고 전했다.

당시 해당 매체 연구진은 이같은 보안 취약점을 에코백스 측에 전달했으나 에코백스 측으로부터 별다른 답변을 듣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에 미국에서 실제 해킹 당한 사례가 보도되자 에코백스 측은 해당 결함을 인정하며 오는 11월 해당 기기를 업그레이드해 내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에는 인공지능(AI)을 비롯한 다양한 첨단 기능이 탑재되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로봇청소기의 경우 카메라와 센서 등이 탑재돼 집 안에서 유일하게 움직이는 가전이다보니 보안의 중요성이 한층 더 강조된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최근 나온 로봇청소기의 경우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원격으로 집안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가능하다”며 “그만큼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보안 기능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