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의 회한[이준식의 한시 한 수]〈286〉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4. 10. 17. 2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밤 바람 불고 비까지 몰아쳐, 발이며 휘장까지 쏴 하는 가을 소리.

시인은 그곳을 향한 길이 평탄하였기에 '딴 길은 아예 가볼 엄두조차 내지 못했다'고 탄식한다.

비바람 속 가을밤을 지새우며 '덧없는 인생'에 심란해한다.

시인의 비극이 문학의 광휘로 남는다는 아이러니를 실감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밤 바람 불고 비까지 몰아쳐, 발이며 휘장까지 쏴 하는 가을 소리.
촛불 가물대고 물시계도 그칠 즈음, 뒤척뒤척 베개에 비스듬히 기대 보고, 일어났다 앉았다 평온치 않은 마음.
세상사 유수처럼 제멋대로 흘렀으니, 돌아보면 한바탕 꿈인양 덧없는 인생.
취향(醉鄕)으로 가는 길이 평탄해 자주 가느라, 딴 길은 아예 갈 엄두도 못 냈지.
(昨夜風兼雨, 簾幃颯颯秋聲. 燭殘漏斷頻欹枕, 起坐不能平.
世事漫隨流水, 算來一夢浮生. 醉鄉路穩宜頻到, 此外不堪行.)

―‘오야제(烏夜啼)’ 이욱(李煜·937∼978)

취향, 삶의 지향을 망각한 채 주색에 탐닉한 미망(迷妄)의 세계. 시인은 그곳을 향한 길이 평탄하였기에 ‘딴 길은 아예 가볼 엄두조차 내지 못했다’고 탄식한다. 비바람 속 가을밤을 지새우며 ‘덧없는 인생’에 심란해한다. 놀랍게도 이 노래의 주인공은 일국의 제왕에서 망국의 신하로 전락한 혼군(昏君). 그 탄식과 회한마저 군주라기엔 너무나 연약하고 무기력하다. 한데 문학사는 이 혼군을 ‘천고사제(千古詞帝)’, 역사에 길이 남을 사(詞)의 제왕이라 치켜세운다. 망국의 한이 서린 애상미(哀傷美)와 굴곡진 삶에서 우러나온 진정성이 강한 호소력을 지녔다고 인정한 때문이리라. 시인의 비극이 문학의 광휘로 남는다는 아이러니를 실감한다.

시인은 당과 송 사이 반세기 남짓 존속했던 오대(五代) 시기 남당(南唐)의 황제. 마지막 임금이라 후주(後主)라는 칭호가 따라붙어 통칭 이후주라 불린다. ‘오야제’는 곡명, 내용과는 상관이 없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