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늘어난 고독사, ‘5060·남성’이 절반 이상…청년층 고독사는 대부분 ‘자살’
고독사 41%, 기초생활수급자
경제적 취약 상태가 ‘치명적’
지난해 사회에서 고립돼 나홀로 숨진 사람이 36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고독사의 절반 이상은 50~60대 남성이었고, 20대 고독사 사망자의 60%가량은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보건복지부가 17일 낸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고독사 사망자는 2022년 3559명, 지난해 3661명으로 이전 조사(2021년 3378명)보다 늘었다. 고독사는 가족·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 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숨지는 것을 말한다. 이번 조사는 2022~2023년 2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고독사 현황을 집계한 것으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고독사 예방조사연구센터가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고독사에 취약했다. 지난해 기준 성별 미상자(29명)를 제외한 고독사 사망자 3632명 중 남성은 84.1%(3053명), 여성은 15.9%(579명)로 남성이 여성보다 5배 이상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146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097명, 40대 502명, 70대 470명 순이었다. 특히 50~60대 남성의 고독사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5060 남성’ 고독사는 1974명으로 전체의 53.9%를 차지했다. 2022년에도 5060 남성 고독사 비중은 54.1%에 달했다. 5060 남성 고독사의 주요 원인은 이혼, 사별에 따른 관계 단절과 알코올 질환 등 고질적인 만성질환으로 파악됐다.
20~30대 청년층은 전체 고독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8%에 그쳤다. 하지만 청년 고독사 대부분이 ‘자살 고독사’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지목됐다.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 중 연령대별 자살 사망자 비중을 보면, 20대가 59.5%, 30대는 43.4%였다. 이어 40대(25.7%), 50대(14.1%), 60대(8.3%), 70대(4.9%) 순이었다. 2022년 20대 자살 사망자 비중은 71.7%였다.
경제적 취약 상태가 고독사에 치명적이라는 사실도 재차 확인됐다. 지난해 전체 고독사 사망자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중은 41.4%(1413명)였다. 고독사로 사망한 기초생활수급자는 2019년 901명에서 2020년 1000명을 넘어선 뒤 2022년 1301명, 지난해 1413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명태균씨 지인 가족 창원산단 부지 ‘사전 매입’
- 명태균 만남 의혹에 동선기록 공개한 이준석···“그때 대구 안 가”
- [단독] 허정무, 대한축구협회장 선거 출마 선언한다
- 최민희 “비명계 움직이면 당원들과 함께 죽일 것”
- ‘IPO 혹한기’ 깬 백종원 더본코리아… 지난달 주식 발행액 5배 껑충
- “김치도 못먹겠네”… 4인 가족 김장비용 지난해보다 10%↑
- 말로는 탈북자 위한다며…‘북 가족 송금’은 수사해놓고 왜 나 몰라라
- 경기 안산 6층 상가 건물서 화재…모텔 투숙객 등 52명 구조
- [산업이지]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지스타에서 읽은 트렌드
- [주간경향이 만난 초선] (10)“이재명 방탄? 민주당은 항상 민생이 최우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