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AI칩 수출’ 중국 이외 국가도 상한 검토
미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엔비디아와 AMD 등 자국 기업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에 대해 국가별 상한선을 정할 방침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기존에는 중국을 대상으로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했는데, 미국 정부가 중동 등 다른 국가로 확대하면서 이를 외교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 당국자들이 이 같은 내용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최근 AI 데이터센터를 빠르게 늘리고 있는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중동 국가들이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내에서 중국이 중동 지역을 통해 미국의 AI 반도체에 우회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자 미국 정부가 추가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앞으로는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 AI 반도체를 무기로 국가별 수출 물량을 직접 조정할 수 있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미국 상무부는 작년 10월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중국으로 제품이 흘러들어 갈 것을 우려해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40여 국에 수출 시 별도 허가를 받도록 하는 규제를 시행했는데 이제는 아예 수출량을 조절하겠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가 미국의 외교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렛대가 될 수 있다”며 “최신 첨단칩을 더 많이 확보하려면 중국과의 관계를 줄이라는 요구가 포함될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이 같은 보도가 나온 날 사우디아라비아의 킹압둘라 과학기술대학 총장은 미국 반도체에 대한 접근을 위협하는 중국과의 거래를 중단하겠다고 약속했다. 에드워드 번 총장은 “미국과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며 모든 미국 무역 규정을 준수해 이런 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도곡동 아파트 경매 나와
- ‘이변’ 여자배구, 강호 캐나다 꺾고 올해 VNL 첫 승 감격
- [만물상] 공포의 벌 독
- 한국 의료기관 외래 진료 2위는 감기... 그럼 1위는?
- 野 “국방·외통·정보위원장 줄게, 법사위원장 달라”... 與 “불가”
- 움직이는 안철수... 국힘 텃밭 대구부터 전국 ‘민생투어’
- 李정부 들어 첫 한·미·일 전투기 연합 훈련 “안보 협력 강화”
- 방첩사 간부 “여인형 지시로 체포 명단 작성...경찰에는 전달하지 말라고 했다”
- 법원 “기간제 근로자, 매년 공채 거쳤다면 2년 넘게 근무해도 정규직 아니다”
- 엿새째 공습... 이스라엘 전투기 50대, 테헤란 핵시설 때렸다